자동차제작사들이 차량판매 뒤 발견된 제작과정에서의 결함을 고치기 위해 리콜을 실시하고 있으나 리콜에 응해 결함을 수리하는시정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실시하는 리콜의 시정률이 당국의 명령을 받아 이뤄지는 강제리콜 시정률의 절반에도 못미쳐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동안 이뤄진 리콜은 수입차를 포함, 총 32건 73개 차종 129만4천528대로 이중 56만3천926대만 리콜에 응해 시정률이 43.5%에 불과했다. 올들어 9월 말까지는 총 22건 42개 차종 57만2천228대를 대상으로 리콜이 실시됐으며 26만8천261대가 수리를 받아 46.8%의 시정률을 보이고 있다. 리콜대상 차량 10대중 5-6대가 크든 작든 제작상의 결함을 안고 도로를 달리고있는 셈이다. 작년 전체 리콜 중 강제리콜은 6개 차종 23만6천370대로 18만7천373대가 리콜에응해 시정률이 79.2%로 비교적 높은 반면 자동차업체들이 자발적으로 실시한 리콜의시정률은 35.5%에 그쳤다. 이때문에 일각에서는 자동차업체들의 리콜이 고객의 안전보다는 책임회피를 위해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제기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에대해 "차량 구입자에게 우편으로 리콜사실을 통보하기 때문에 차량 구입자가 중간에 이사를 하거나 차량을 매매를 할 경우 리콜사실을 통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리콜 사안이 경미한 경우에는 차주쪽에서 리콜에 응하지 않는 사례가 많아 리콜 시정률이 낮을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 리콜이 이뤄지면 보통 1년∼1년6개월의 리콜기간이 끝난 후에도 무상수리가되기 때문에 리콜기간내 시정률만 갖고 판단할 문제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당국의 명령에 의한 강제리콜과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실시하는 리콜의 시정률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시행상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으로 리콜 시정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 자동차리콜 주무부서인 건설교통부는 업계에 리콜 시정률을 높일 수있는 방안을 마련해 제출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기자 eomn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