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당이 지구당 폐지,후원회 금지,선거 완전공영제 등 정치개혁 방안에 합의한데 이어 전경련이 정치자금제도 개선안을 내놓아 돈 정치를 청산하기 위한 진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정치자금의 양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정치권과 재계가 이대로는 안된다는 절박한 인식에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차제에 부패 정치를 청산하는 획기적 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사실 여야 4당이 합의한 정치개혁 방안은 그대로 지켜지기만 한다면 돈 정치를 청산하는데 크게 기여할 만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돈 먹는 하마라고 불리는 지구당을 폐지하면 돈이 그만큼 적게 들게 마련이고 후원회를 폐지하는 대신 선거를 완전 공영제로 치르게 되면 정치자금의 조달도 투명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과거처럼 겉으로는 제도를 개선하는 척하면서 뒤로는 구태를 반복하는 것을 어떻게 막을 수 있겠느냐는 점이다. 지구당 폐지는 자칫 사조직 의존도를 높여 불법이 더욱 극성을 부리게 만들 가능성이 높고,후원회 금지는 합법적인 자금통로를 차단해 검은 돈이 만연할 우려가 있는데다 완전 선거공영제를 위해 국고투입만 늘린다고 공명선거가 저절로 보장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정치권은 재계가 제안한 개별기업의 정치자금 직접 제공금지,주총승인 의무화,지정기탁제 부활,20만원 이상 제공자 인적사항 공개 등을 주내용으로 하는 개선방안을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불법 정치자금을 원천봉쇄할 수 있어 정치권이 합의한 정치개혁 방안에 대한 실천의지가 상당부분 담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법인세 1% 정치자금 기부제도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정치자금이라기 보다는 인하돼야 마땅한 법인세를 거꾸로 인상하는 것과 같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정치제도 개혁을 논함에 있어 빠뜨릴수 없는 부분이 어떻게 과거를 털고 가느냐는 점이다. 여야 정치권은 물론이고 웬만한 대기업은 정치자금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현실에서 과거에 지나치게 매달리는 것은 아무에게도 도움이 안된다.재계의 제안대로 정치권의 고해성사를 거쳐 정치자금을 받은 쪽이나 준 쪽 모두의 민·형사상 책임을 일괄사면하는 방안을 여야합의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그래야 진실한 고백이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과거를 털고 미래지향적 재도개혁으로 나갈수 있다.향후 정치자금 수수에 대한 엄격한 처벌과 돈 정치 청산이 전제된다면 일괄사면에 대해 국민들도 동의해 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