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회장단이 현 경제상황을 '40년만의 최대위기'로 규정하고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을 촉구한 것은 비장한 기분마저 느끼게 한다. 정권에 밉보였다간 자칫 역풍을 맞을 수도 있는 경제인들이 대통령의 리더십을 정면으로 거론한 것은 보통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기업인 의욕저하와 국민의 불안심리가 정말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했음이 분명하다. 회장단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나 대처 전 영국 총리, 아데나워 전 독일 총리 같은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지만 실제 정권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리더십이 없더라도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을 위해 기업들이 솔선수범하자"는 발언이나 남덕우 전 총리등 원로자문단이 "정치야 어떻게 돌아가든 경제가 굳건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만큼 재계가 단합하자"고 한 말이 그런 느낌을 준다. 청와대와 정부는 경제계의 신뢰가 이처럼 추락한 이유에 대해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 올해 내내 계속된 파업과 시위 등 각종 사회혼란이 정부의 어정쩡한 자세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고 이로인해 기업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됐다는 사실을 결코 가볍게 보아 넘겨선 안된다. 정부는 이제라도 정책 우선순위를 경제난국 극복에 두고 이를 위한 대책을 차례차례 실천해나가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만연한 집단이기주의에 의해 경제운용이 왜곡되지 않도록 중심을 바로 잡는 일이다. 새만금 간척사업과 원전센터 건립등 중요국책사업을 둘러싼 사회갈등도 조속히 해결해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 사회가 불안해서야 경제가 제대로 될 리 없다. 특히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핵심 과제다. 각종 규제를 과감히 풀어 기업인들이 뛸 수 있도록 해주면서 투자를 활성화시켜 나가야 한다. 공정거래법상의 계좌추적권 연장문제나 노사로드맵 보완문제,증권집단소송제 관련 남소방지책 등에 대해서도 경제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