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주5일 근무제 시행 등에 따른 부담을 극복하기 위해 생산성 10% 향상 운동에 나서기로 한 것은 이대로는 기업이 살아남기 힘들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제 생산성 향상은 단지 기업만이 아니라 나라경제의 사활이 걸린 문제가 된 만큼 정부와 노동계도 함께 힘을 모아 범국민운동으로 승화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가 처한 제반상황을 볼 때 생산성 향상은 보통 시급한 일이 아니다. 경제가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판에 주5일 근무제가 도입돼 근로시간은 줄고 기업부담은 더욱 늘어나야 할 형편이다. 그러잖아도 우리나라의 1인당 GDP 대비 제조업 임금수준은 지난해말 기준 1.8배로 소득수준이 훨씬 높은 일본(1.2배) 대만(1.4배) 싱가포르(1.0배)조차 훨씬 앞지르고 있는 상황이다. 임금상승률 역시 12%에 이르러 -1∼1%선인 이들 나라를 크게 웃돌았다. 제조업이 앞다퉈 한국을 빠져나가는 것도 따지고보면 여기서 연유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양상이 계속 이어진다면 10년 이내에 소득 2만달러 달성은커녕 오히려 뒷걸음질치지나 않을지 걱정이다. 특히 일본 싱가포르 아일랜드 등 단기간에 1만달러에서 2만달러로 진입한 나라들은 한결같이 원만한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대폭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뤘고 또 그 범위 안에서 임금인상이 이뤄져 온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선 노사가 서로 한발씩 양보하면서 원만한 노사관계를 구축하는데 총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 어떤 조사에서든 한국의 노사관계가 세계 최하위 수준에 머무르는 부끄러운 현실에서 이제는 벗어나야 한다. 또 기업차원에서는 업무 단순화·표준화·전산화 등의 작업은 물론 6시그마 같은 현장운동을 통해서도 생산성과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높여나가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노조도 지나친 요구는 자제하고 생산성 향상 범위내에서의 임금인상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생산성을 넘어서는 임금인상은 국가경쟁력 회복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일본 대기업 중 60%가 올해 춘투에서 임금을 동결한 이유를 냉철히 생각해 봐야 한다. 정부도 더 이상 기업 발목잡기는 하지 말아야 한다. 기업인의 창의성과 도전의욕이 저하되지 않도록 집단소송제 도입이나 계좌추적권 연장 등에는 특히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지금은 기업 국민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하나가 돼 경제 재도약을 위해 다시 뛰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