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5일 현대자동차 노사가 내달 주5일 근무제 도입에 합의한데 대해 협력업체 등 타기업으로의 확산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다. 재계는 특히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한국경영자총협회 등이 금속노조의 주5일 제 합의 이후 '정부안이라도 국회에서 통과시켜야 한다'는 고육지책을 내세웠는데도불구하고 주5일제 합의가 현대차까지 확산되자 당황한 모습을 감추지 못했다. 금속노조의 합의가 임금삭감 없는 주5일제 도입을 불러일으킨 `뇌관'이었다면 국내의 대표적인 사업장중 하나인 현대차에서의 이번 합의는 이러한 주5일제를 재계 전역으로 확산산시키는 `대형 증폭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계는 공동방어막의 한축이 무너지는 당혹감에 사로잡힌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제단체 등은 현대차식의 주5일 근무제가 확산되면 기업의 인건비 부담 상승 과 이에따른 경쟁력 저하 등의 후유증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현대차 노사가 합의한 주5일제가 확산된다면 대기업에 비 해 상대적으로 지불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고통심화와 노사갈등 심화 등을 피할 수 없게 된다"며 이런 식의 주5일제 확산 방지에 재계가 공동대책을 수립키로 했다. 전경련은 더욱이 현대차가 임금삭감없는 주40시간 근무제를 도입하고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대폭적인 처우개선에 합의한 것은 중소기업의 급격한 경쟁력 약화를 가져올 뿐 아니라 기업의 인력운용을 크게 제약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총도 "주5일 근무제에 대한 법제화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가운데 금속노조에 이어 현대차가 이를 먼저 도입키로 한 것은 수천개의 협력업체로의 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져 동종업계는 물론 다른 산업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경총은 이와함께 그동안 재계에서 부정적 입장을 견지해온 비정규직 처우개선 뿐아니라 노조의 경영참여 등도 타사업장에 연쇄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기업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했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는 "중소기업이 주 5일제 시행 이후에도 현재 실근로시 간을 유지하려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22만2천307원의 임금을 보전해 줘야 하는만큼 중소기업은 기업운영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기협중앙회 관계자는 "우리나라 중소제조업 생산직의 경우 실 근로시간은 주당 56시간이며 부족 인원이 20만명에 달하는 등 아직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권혁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