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 이하 청소년이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5.2%로 60년대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것은 출산기피 현상이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수준까지 왔음을 말해준다. 인구규모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선 여성 1인당 출산율이 2.1명은 돼야 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1.3명에 그치고 있다. 인구감소로 고민하고 있는 선진국들의 평균 1.6명에도 미치지 못한다는데서 문제의 심각성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보다 빨라지면서 성장이 둔화되고 경제활력이 떨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년 비율이 2001년 현재 7.6%에 달해 고령화사회로 이미 들어섰으며 2019년엔 14%를 넘어 고령사회로,2026년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란게 일반적 전망이다.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가능한 한 늦추기 위해서는 출산율을 끌어올리는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는 사실은 너무도 명백하다. 이를 위해선 육아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여성들이 마음놓고 사회활동을 할 수 있게 해주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젊은 층의 노동력 감소는 여성들의 사회진출 증대로 이어지게 마련이지만 지나친 육아부담이 계속되면 사회활동을 위해 출산을 기피하고 이는 다시 사회활력을 떨어뜨리는 악순환을 낳을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출산장려 제도는 하루라도 빨리 보다 완벽한 체제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정부가 검토중이라는 출산수당,아동양육 보조수당,출산시 세액공제 확대,교육비 경감 등의 혜택은 물론 공공 보육시설을 대규모로 확보하는 등 최대한의 지원을 해야 한다. 기업도 이 문제에 관한 한 인식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복지 혜택을 늘리는 것이 경영 부담을 가중시킬 것은 틀림없지만 출산율 제고는 보다 중요한 국가적 과제라는 점에서 출산 후에도 근무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보장을 해주고 직장내 보육시설도 충분히 확보해 여성들의 부담을 덜어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