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경제부에서 나와 두곳 이상을 거친 기관장은 모두 교체대상''증권 유관기관장 임기는 더 이상 없다''4월에는 재경부,5월에는 금융감독원에서 낙하산이 뜬다'….최근 증권가에서 급속히 번지고 있는 괴담들이다. 소위 옷을 벗는 관료들의 자리를 마련키 위한 '관치(官治) 인사태풍'이 불어닥칠 것이란 소문이다. 지난 1일 코스닥위원장 인사는 이러한 우려감에 기름을 부었다. 그동안 중요시했던 일의 절차나 모양새 따윈 찾아보기 힘들었다는 점에서 향후 '낙하산' 인사의 강도를 예감케 한다. 허노중 코스닥위원회 신임 위원장은 전직인 한국증권전산 사장의 임기를 1년이나 남겨놓은 상태에서 자리를 옮겼다. 그는 지난달 28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재신임까지 받았다. 주주의 재신임을 받은 CEO(최고경영자)를 정부가 단 4일만에 밀어낸 셈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인사에 대해 "해도 너무한다"고 말한다. "최소한 모양새만이라도 갖춰야 하지 않았느냐"고 반문한다. 증권업협회 노조가 코스닥위원장 선임절차 등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하는 등 강경입장을 보인 것도 업계의 이같은 정서를 대변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같은 '낙하산 인사'가 연쇄적으로 일어날 징후가 감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임기가 1년3개월 남은 맹정주 증권금융 사장이 상호저축은행중앙회 회장으로 자리옮기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물론 관료 출신이라고 해서 안된다는 법은 없다. 능력이 있고 해당 기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인물이라면 적극 영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시스템에 의한 인사가 이뤄져야 한다는게 업계의 공통된 지적이다. 증권업계의 한 노조 관계자는 "누가 와도 좋으나 공개적이고 합리적인 절차를 따라야 승복할수 있지 않느냐"고 강조했다. '참여정부'로 상징되는 노무현 정부에 대한 기대는 그 어느때보다 크다. 여기에는 과거 정권때마다 재현돼온 산하기관의 나눠먹기식 인사 대신 개방형 인사 시스템이 작용할 것이란 기대감도 한몫을 한다. 지금 증권가에 나도는 괴담들이 현실화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김철수 증권부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