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초대 내각은 과거 어떤 정부보다 특색있는 인물들로 진용이 갖추어졌다. 연령과 학벌 서열 파괴형이라고 할 수 있겠고 여성의 약진이 두드러진 점도 눈에 띈다. 지자체를 지휘할 행자부에는 군수출신이,보수적인 법무부에는 여성, 그것도 40대 장관이 임명됐다. 이들은 앞으로 정부내에 신선한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진표 재경부 장관겸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경제팀은 역시 안정형 인물들로 구성됐다. 관료 출신이 많다는 것은 보기에 따라 평가가 엇갈릴 수도 있겠지만 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갈 것이라는 측면에서는 점수를 받을 만하다. 그동안 인수위에 속한 대학교수들이 설익은 개혁과제들을 쏟아내면서 세간의 우려와 불안이 매우 높았던 것이 사실이고 대내외 경제여건이 매우 악화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적절한 인선이었다고도 본다. 지금 우리경제를 위협하는 것이 이라크 전쟁과 유가급등,선진국 경기침체 등 외부요인 만이 결코 아니라고 본다면 경제팀이 해야할 일은 자명하다. 새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투자자와 기업의 경제하려는 의욕을 북돋우는 일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다급한 과제다. 노무현 대통령이 굳이 관료 출신들로 주요 경제장관을 기용한 것도 바로 그점을 고려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그동안 인수위 활동을 중심으로 제기된 허다한 정책 과제들을 합리적으로 재구성하는 일이나 개혁성향의 청와대와 역할을 분담하는 일 등이 모두 순조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경제 활력을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일은 어떤 정부 하에서도 결코 후순위로 처질 수 없는 항목들이다. 우려되는 것은 경제팀 내부의 팀워크다. 장관들의 면면을 보더라도 농림부 노동부 등 분배적 정의에 대한 요구가 높을 수밖에 없는 사회성 경제부처들과 재경부 산자부 등이 구체적인 정책을 놓고 사사건건 충돌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FTA 등 대외개방은 농림부와,노동시장 유연성 등은 노동부와 갈등을 빚게 되고 여기에 개혁성향의 청와대가 가세한다면 정부내 갈등과 마찰은 필연적이다. 개혁 성향의 청와대 비서실이 방대한 규모라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이는 대통령은 물론 청와대 스태프들이 특히 유념해야 할 대목이다. 어떻든 18개 부처 장관이 임명되면서 노무현 정부 초대 내각이 출범했다. 두달여에 걸친 정권인수 과정에서의 공백을 메우고 경제에 드리워진 먹구름을 걷어내는 작업부터 박차를 가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