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의 2천235억원 대북 송금 파문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 자금이 향후 현대의 대북사업을 위한 일종의 '리베이트'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대 관계자는 7일 "당시 현대는 북한 당국과 다양한 협력사업을 논의중이었으며, 사업권 확보를 눈앞에 두고 있었다"며 "따라서 북한에 건넨 2천235억원은 사업권 확보를 위한 '리베이트'로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대가 98년말 금강산 관광사업을 시작으로 대북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후 남북관계 진전은 사업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였다"면서 "2000년 8월에 체결된현대와 북한간의 대북관련 합의서가 그해 5월에 거의 완성돼 문서화만 남겨둔 상태였던 점으로 미뤄볼 때, 같은 해 6월 현대의 대북 송금은 미래 사업에 대한 선투자로 볼 수 있으며 사업권 수혜는 현대아산이 받고 송금은 현대상선이 한 점으로 봐선`리베이트'라고 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대북송금 문제와 관련, `현대는 개성공단 등 7대사업을 북측으로부터 30년간 보장받는 계약을 했다'며 2천235억원이 이 사업 대가로 건넸다고 간접적으로 밝히고 있는 청와대와 현대의 설명과 다소 거리가 있는 것이다. 북한도 지난 2일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현대가추진해온 개발사업은 관광.철도.통신.고선박해체.최첨단전자공단.임진강댐.개성공업지구 등 내용과 규모가 방대하다"며 현대가 대북관련 비용으로 사용한 2천235억원이`7대사업'과 관련돼 있음을 시사했다. 북측은 그러나 이 성명에서 이 돈이 `7대사업'의 사업권을 보장해주는 대금인지는 확인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북한이 아직까지 폐쇄적인 사회인 탓에 사업권의 가치평가가 힘들다.하지만 2억달러는 7대사업에 대한 사업권 보장으로는 터무니없이 적은 돈으로만약 통신사업 하나에 대해 독점사업권을 보장받는다고 하더라도 그 금액이 수십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면서 "2억달러는 현대의 대북사업 진출을 위한 리베이트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대와 북한간에 체결된 대북관련 기본합의서(1부)와 세부협약서(7부)가 대북송금 2개월뒤인 2000년 8월21일 이후에 이뤄진 것도, 2천235억원이 리베이트일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라고 덧붙였다. 한 북한 전문가는 "이럴 경우 현대의 리베이트는 북한의 최고 지도자인 김정일국방위원장에게로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추정했다.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