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가 '증권문맹 퇴치'를 위해 투자자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투자신탁협회는 52명의 전문 강사진을 편성해 학교 기업체 정부기관 사회단체 등을 대상으로 투자관련 교육을 강화하고 있고, 증권업협회는 투자교육 전담팀을 만들어 교육활동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투자교육과는 다르지만 삼성증권은 약정 위주의 영업관행을 타파할 목적으로 영업직원의 고과를 평가할 때 고객의 수익률과 자산규모만 따지기로 했다고 한다.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본다. 투자자 보호는 증권사의 당연한 임무이고 위험자산인 주식에 대한 투자교육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임에도 증권사들의 노력이 미흡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주식투자 인구가 3백80만명을 넘어섰지만 체계적으로 교육 받을 곳이 없고, 올들어 투자손실이 50%를 넘는 투자자가 30%나 된다는 통계를 보더라도 투자자들이 그동안 얼마나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증권 및 투신협회가 장기적인 주식수요기반 확충을 목적으로 투자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것은 올바른 방향이다. 개별 증권사도 투자설명회나 투자교실을 열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그 내용을 투자기법 등 영업력과 연결시킬 수밖에 없는 실정이고 보면, 자본시장과 경제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판단력을 길러주는데는 증권단체 중심의 교육이 적절할 것이다. 다만 미국의 증권당국과 협회 등이 곳곳에 교육센터를 개설하고 정교한 교육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는 것에 비하면 우리의 투자교육은 이제 시작단계인 만큼 정부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증권사들도 고객중심 경영과 배치되는 약정경쟁을 이제는 그만둬야 한다. 주식매매 회전율 높이기를 유도하는 약정중심의 영업은 그 폐해가 적지 않고,사이버 매매 활성화로 수수료 수입에 의존한 경영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도 지양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