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의 급속한 고령화는 하루빨리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중차대한 과제임에 틀림없다. 올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들이 전체 인구의 7.9%를 차지해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오는 2019년에는 그 비중이 14.4%에 달해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같은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도 유례 없이 빠른 것으로서 다각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형편이다. 외환위기 이후 막대한 공적자금 투입으로 인해 재정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고령화로 인한 문제는 성장둔화 재정수지악화 노동력부족 복지수요증대 등 한두가지가 아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시급한 과제는 공적연금의 재정위기 해소를 꼽을 수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대로 가면 오는 2020년부터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등 4대 공적연금의 통합재정수지가 2조8천5백38억원의 적자로 돌아서고, 2050년께엔 재원이 완전히 고갈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적게 부담하고 많이 받아가는' 잘못된 연금구조 때문이지만,빠른 고령화가 연금 재정위기를 가속화시키고 있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정부는 연금재정은 물론이고 성장 재정 등 경제운용의 전반적인 틀을 대대적으로 개혁해야 마땅하다. 그러나 선진국의 예를 봐도 연금재정과 의료혜택 확충만으론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할 수 없으며 바람직하지도 않다. 우선 예산투입을 최소화하면서도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직장정년 연장을 비롯해 퇴직 전문인력의 시간제 또는 비상근직 확대, 노인창업 지원 등 노인들을 활용하는 '생산적인 복지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평생교육과 사회봉사활동을 유도하는 체계적인 시스템도 갖춰야 하며, 장기요양 노인환자들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유력한 방편으로 재택요양 보험의 도입 또한 검토할 만하다. 중장기적으로 노인들의 취업 의료 주거 교육 여가 등을 포괄하는 사회안전망 구축도 필요하다. 한가지 강조할 대목은 정부가 이 모든 부담을 감당할 수 없으며, 해서도 안된다는 점이다. 민간기업과 자원봉사자들을 적절히 활용해야 전문화가 촉진되고 효율도 높아지게 된다. 잘만 하면 이른바 '실버산업' 과 같은 새로운 산업의 급성장도 기대할 수 있다. 이점에서 볼 때 본사가 주최한 제1회 '한경 실버페어'가 나흘간의 일정을 성황리에 마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