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인터넷 가입자수가 1천만명을 돌파했다는 것은 한국의 IT 인프라가 세계 최고수준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평가할 만하다. 특히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된지 불과 4년만에 전체 가구중 70%에 달하는 보급률을 기록한 그 증가속도는 다른 나라들의 연구대상이 될 정도라고 한다. 실제로 OECD는 각종 자료에서 한국의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 영국의 정부 대학 언론 등은 초고속인터넷 선진국이 되려면 한국을 벤치마킹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의 밀집된 주거문화,정부의 역할,높은 교육열,PC방 효과 등이 한국 초고속인터넷의 주요 성공요인이라는 자체 연구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지난 4년간 11조원이 투자된 이런 IT 인프라의 성공적 구축 덕택에 그동안 생산 부가가치 고용유발 등 적지않은 경제적 효과를 거뒀다는 것이 정보통신부의 분석이다. 그외에도 전자상거래와 사이버 주식거래 등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로 꼽힌다. 하지만 중복투자가 아니냐는 비난 속에 경쟁적으로 구축된 이런 인프라의 활용이 사회전체적으로 극대화되고 있느냐는 측면에서 보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않다. "하드웨어 측면의 인프라만 볼 게 아니다. 한국은 초고속인터넷이 강하다고 하지만 인터넷망의 활용도를 높일 무엇인가가 필요하다. 소프트웨어와 콘텐츠에 눈을 돌려야 한다." 최근 한국을 방한했던 미국 컴퓨터 어소시에이츠(CA)의 찰스 왕 회장은 IT 강국이라는 한국의 약점을 예리하게 집어냈다. 인프라 강국이 IT 강국을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하나의 필요조건일 뿐이다. 1천만명의 초고속인터넷망이 절반의 성공이라면 나머지 절반의 성공여부는 어떻게 인프라의 활용도를 높이며 구체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하느냐에 달렸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최근에 통신망 고도화를 명분으로 또 다른 과당경쟁ㆍ중복투자 조짐이 일고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정부는 경쟁정책의 초점을 망의 개방과 공동활용 유도에 둬야 하며 이것은 무선부문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부가가치를 창출하자면 무엇보다 콘텐츠산업이 강해야 한다. 비록 우리보다 초고속인터넷 보급이 늦은 국가들조차 콘텐츠 개발에 열심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무선인터넷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도 콘텐츠는 핵심적 관건이다. 균형잡힌 IT 강국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