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협동조합들이 흔들리고 있다. 중소기업의 권익옹호를 위해 존재하는 협동조합 가운데 제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협동조합은 조합 자체가 부도를 냈고 일부 조합은 이사장의 해외도피,조합원사들의 가동중단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전·현직 이사장간의 파벌싸움이 이어지는 곳도 있다. 한국운동화판매업조합의 경우 조합 설립 1년 만에 부도를 냈다. 이 조합은 '테크트로닉'이라는 공동브랜드를 내놓는 등 공동 이익을 위해 노력해왔지만 결국 무너졌다. 한국골프용구조합은 이사장이 자기 회사가 부도 나자 이사장직을 사임하지 않은 채 해외로 도피,조합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한국죽염공업조합은 죽염에서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검출됐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발표 이후 조합원사들의 잇단 가동중단 등으로 존폐기로에 서있다. 일부 조합원사는 정부에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는 등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역부족이다. 이밖에 몇몇 조합은 이사장 선거가 끝난 지 1∼2년이 됐지만 전·현직 이사장 진영간에 형성된 파벌의 골이 깊어져 거의 매일 싸움으로 지새고 있다. 이같은 조합의 위기는 국정감사장에서도 초점이 됐다. 최근 기협중앙회에 대한 국감에서 한나라당 강인섭 의원은 "기협중앙회 산하 협동조합의 30%이상이 적자를 낼 정도로 부실조합이 많은데 이들을 정리할 생각이 없느냐"고 기협 회장에게 묻기도 했다. 협동조합은 조합원사들의 권익을 도모하기 위한 단체다. 요즘과 같이 경영환경이 어려운 상황에선 중소업체의 활로를 찾아주려는 다양한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된다. 그런데도 협동조합 기능이 마비되거나 싸움으로 일관한다면 그런 조합은 없느니만 못하다는 게 뜻있는 기업인들의 생각이다. 협동조합을 이끌고 있는 기협중앙회도 조합이 중소기업을 위해 역동적으로 뛸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뿌리(협동조합)가 약하면 열매(기협중앙회)마저 부실해진다는 사실을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이계주 산업부 벤처중기팀 기자 lee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