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적으로 인접한 강북의 재개발 구역들을 몇개씩 묶어 대단위로 짜임새 있게 개발하되,도로 상수도 공원 등 도시기반시설을 갖추는데 드는 비용의 일부를 시예산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서울시가 검토중인 모양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낙후된 강북지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올해안에 만들겠다는 '지역균형발전 특별조례(가칭)'의 내용 일부가 구체화된 것으로 보인다. 강북 개발 논의의 배경에는 강남 집값 급등 원인이 도시기반시설 생활편의시설 교육환경 등이 고루 잘 갖춰져 사람들이 이곳으로만 몰리는데 있다고 보고 강북을 재개발해 주택수요를 분산시키자는 의도가 깔려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재개발구역 거주주민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든지,예산지원에 필요한 재원확보가 불확실하다는 등 시행상의 어려움 말고도 몇가지 점에서 서울시 당국은 이 계획을 신중하게 재검토해야 마땅하다. 우선 강북개발에 대해 너무 떠들 경우 투기세력을 자극해 겨우 소강상태에 접어든 부동산시장이 다시 과열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개발이익에 대한 기대로 강북지역 땅값이 뛰고 집단이기주의가 기승을 부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재개발사업은 기존의 도시계획이나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해당 구역별로 차분하게 추진하면 되지 난데 없이 '미니 신도시' 운운하며 호들갑을 떨 일이 아니다. 또한가지 걱정거리는 서울시가 강북지역을 대대적으로 개발할 경우 서울의 과밀화가 한층 심화되지 않겠느냐는 점이다. 예를 들어 박승 한은총재 주장대로 강북의 단독주택 밀집지역을 중·대형아파트 단지로 재개발할 경우 유입인구가 크게 늘어나 자칫 교통 환경 교육 등 생활여건이 악화되기 쉽다. 그렇지 않아도 주택시장 안정을 명분으로 서울 인근지역에 자꾸 신도시를 건설하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수도권 집중현상이 가속화됐는데,강북 재개발로 인해 같은 잘못을 되풀이해서는 결코 안될 것이다. 물론 강북과 강남지역간 불균형이 상당히 커진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리고 난개발을 방지하자면 재개발 사업을 대단위로 묶어 공공개발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유리한 것 또한 분명하다. 그러나 강북개발은 주거환경 개선과 도시균형발전 차원에서 접근해야지 집값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취급해선 곤란하다. 서울시는 대규모 재개발을 추진하기 앞서 다핵 부도심 개발계획을 비롯해 그동안 수립된 도시계획들을 점검하고 이들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안됐다면 왜 안됐는지부터 철저히 따져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