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이 정권 말기에 주요 보직을 기피하는 '레임덕 신드롬'이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의 입김을 타거나 부담이 큰 자리는 기피하는 반면 정권과 무관하고 임기가 보장되는 자리에는 지원자가 대거 몰리는 양극화 현상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 6월말 사퇴 의사를 밝힌 강금식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장의 후임 선출문제는 정권말 인사기피 신드롬의 대표적인 사례다. 정부는 민간위원들이 호선으로 뽑는 민간위원장 후보감을 찾기 위해 한 달 이상 고심해 왔으나 나서는 사람이 없어 고민중이다. 공자위 민간위원장은 월 보수 1백만원에 회의 참가비 20만원을 받지만 대외적으로는 장관급 대우를 받는 명예직이다. 박승 한국은행 총재가 이 자리를 거쳐 곧바로 중앙은행 총수가 될 만큼 '장래성' 있는 감투로 꼽힌다. 그러나 정권 말기로 접어들면서 공자위 민간위원장은 미래의 좋은 자리를 보장받기는커녕 뒤치다꺼리하는 자리로 전락했다. 정부는 전철환 전 한은 총재에게 공자위 민간위원장 후보로 나서줄 것을 권유하고 있으나 전 전 총재가 고사하고 있다. '현 정부에서 한국은행 총재를 시켜줬으니 정부가 어려울 때 마땅히 도와줘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리론'까지 내세우고 있지만 긍정적인 답변을 얻어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 마늘협상 파동의 와중에 전격 사퇴한 전성철 무역위원장 후임자 선정작업도 난항을 겪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적임자로 거론되는 사람들마다 고사하고 있다"며 "공자위 민간위원장 후보 선임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무역위원회가 정부의 거수기로 인식되고 있는데다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으로 농산물 시장 개방의 '총대'를 메는 등 악역을 떠맡아야 할 처지여서 기피현상이 심각하다는 것. 청와대 파견직도 대표적인 기피 대상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이전에는 청와대에서 근무할 경우 본인이 원하는 자리로 되돌아올 수 있어 인기가 높았으나 지금 청와대로 가면 정권 교체로 찬밥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반면 정치 바람을 덜 타고 임기가 보장되는 자리에는 유력 인사들이 몰려들고 있다. 지난 6일 선출된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후보에는 김중수 경희대 아.태국제대학원장과 이계식 KDI 국제대학원 교수 등 다섯명이 자천.타천으로 나섰다. 선출 과정에서 후보들의 로비전이 어느 때보다도 치열했고 그 바람에 세차례 투표를 실시하는 진통 끝에 김 원장이 선출됐다. 재경부 1급(관리관) 보직인 금융정보분석원장 자리에도 김규복 신임 원장(전 재경부 경제협력국장) 외에 2∼3명이 가세,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청와대 정당 등 외부에 나가 있던 고위직 공무원들이 본부 부처에 자리가 날 때마다 복귀하려는 시도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