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마지막 노사정위원회 협상이 열린 지난 22일.예상했던 대로 노동계와 경영계의 팽팽한 신경전은 협상내내 계속됐다.


문틈으로 간간이 터져나오는 고함소리는 회의 진행의 난항을 예고했다.


정회 중 회의장 밖으로 잠시 나온 김창성 경총 회장과 이남순 한국노총 위원장의 얼굴은 벌겋게 상기돼 있었다.


이날 협상에서 경영계는 핵심 쟁점이었던 임금보전 문제에 대해 주5일 근무제 도입 이전의 총액 임금 수준을 약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노동계의 반응은 냉담했다.


한마디로 믿을 수 없는 '공수표'라는 것.노동계는 법 부칙에 구체적인 임금보전 방안을 명시해 달라고 요구했고 경영계는 '절대 불가'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협상에 진전이 없자 노동부는 노사 양측의 입장을 절충한 중재안을 마지막 카드로 제시했다.


법 부칙에는 기존의 임금보전 원칙만 명시하고 대신 노동부가 기존의 임금수준을 보장해주는 방향으로 유권해석을 내리고 행정지도하겠다는 것이 요지.


이번에는 경영계가 발끈했다.


"정부가 경영계를 협박하는 거냐","퇴장하겠다"는 고성이 흘러나왔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협상은 결렬됐다.


2년여에 걸친 노사정위 협상이 아무런 성과없이 제자리걸음만 하다 종지부를 찍는 순간이었다.


사실 이날 협상이 시작되기 전부터 노사정위의 합의 가능성을 점치는 전문가들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일부 쟁점에 대한 양측의 의견 대립이 너무 첨예했기 때문이었다.


일부에서는 주5일 근무가 사회적 대세인 데다 노사 양측 모두 여론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막판 타결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노사간 합의는 결국 물거품이 됐다.


노사 합의를 기대했던 국민 여론을 감안하면 안타까운 일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노사 양측이 보여준 실망스런 행태다.


지난 2년여에 걸친 협상내내 양측은 '반드시 하나를 받아야만 하나를 내준다'는 구태를 답습해왔다.


서로간 '믿을 수 없다'는 불신의 벽도 넘지 못했다.


이처럼 퇴행적인 노사관계가 삶의 질 향상이라는 대다수 국민들의 여망을 언제까지 가로막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이정호 사회부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