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과 론스타가 서울은행 예비 인수후보로 선정됨에 따라 제일은행에 이어 서울은행도 외국계 금융회사에 팔릴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로선 여전히 하나은행이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정부는 그동안 서울은행 처리 원칙과 관련, 기회 있을 때마다 우량은행과의 합병을 우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혀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론스타와 JP모건이 서울은행 인수에 상당히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음을 감안하면 서울은행의 새 주인이 '외국계'가 될 공산도 배제할 수 없다는게 정통한 소식통들의 설명이다. 공적자금 회수에 안간힘을 쏟고 있는 정부 입장에서도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쪽에 마음이 쏠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외국계 금융회사의 인수전략 외국계 펀드 관계자는 "돈은 충분히 준비돼 있다"는 말로 인수전략을 압축적으로 표현했다. 필요하다면 가격을 다소 높게 제시해서라도 서울은행을 인수하고 싶다는 의사를 비친 셈이다. 외국계 금융회사에 비해 현금동원 능력이 뒤지는 하나은행으로선 긴장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이번에 인수전에 뛰어든 외국계 금융회사들은 제일은행을 인수한 뉴브리지캐피털과는 여러모로 다르다는 점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뉴브리지가 사활을 걸고 고집한 풋백옵션을 들고 나오지 않은게 대표적 예다. 인수조건으로 풋백옵션 조항을 달게 되면 정부는 서울은행에서 추가 부실이 발생할 경우 그에 대해 보전해 줘야 한다. 공적자금을 더 투입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얘기다. 그러나 일부 인수후보는 이같은 부담을 정부에 주지 않겠다고 공언하고 나섰다. 정부의 마음을 충분히 사로잡을 만한 제안이다. 더구나 론스타는 인수후 경영능력에 대한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일본계 은행과 컨소시엄을 형성하고 이번 입찰에 참여했다. 정부의 입장과 협상전략을 오랜 기간 분석하고 치밀하게 준비했음을 읽게해 주는 대목이다. 외국계 인수후보들은 서울은행이 누적결손 때문에 일정기간 법인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점, 서울은행의 영업력이 바닥을 지나 회복단계에 접어든 점 등을 높이 평가해 이같이 적극적인 인수 공세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 정부, 누구의 손을 들어줄까 외국계 인수후보들의 공격적인 태도로 인해 정부의 선택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그동안 서울은행 처리방침에 관해 △국내 우량은행과의 합병이 최선책이고 △국내외 투자자에게 매각하는 방안이 차선책이며 △공적자금 투입 은행과의 합병은 마지막 대안이라고 밝혀왔다. 인수의향서를 냈던 조흥은행과 외환은행이 예비 인수후보 선정과정에서 탈락함에 따라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과의 합병 가능성은 전무하다. JP모건과 론스타는 정부가 밝힌 차선책에 해당한다. 물론 최선책의 대상은 하나은행이다. 정부의 고민은 크게 두가지일 것으로 보인다. 서울은행의 향후 경영과 은행 구조조정 등의 변수에 초점을 맞춰 당초 언명했던 대로 우량은행(하나은행)과의 합병 방침을 고수할 것이냐가 첫째다. 두번째는 공적자금 회수를 늘리기 위해 철저히 '상업적인 판단'으로 돌아설 것이냐이다. 지분을 1백% 모두 사들이겠다는 제안도 있는 상태라서 정부는 이 대목에 관해 심각히 고민해야 할 상황이다. 두가지중 어느 쪽도 쉽게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정부가 과연 어떤 판단을 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성태 기자 ste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