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고 싶은데 뺨 맞은 꼴이다." 베이징의 한 철강업체 상사원은 중국의 철강분야 세이프가드 발동 조치를 놓고 이렇게 말했다.


그는 중국 철강업계가 세계무역기구(WTO)가입 이후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포항제철 신일철 등 외국기업과 경쟁이 안되는 상황에서 개방일정을 발표,국내시장을 잃게 될 것이라는 위기감에 쌓여있다는 풀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철강분야 세이프가드 발동은 '호기'였다.


중국은 미국을 빌미로 이번 조치를 내렸다는 게 관계자의 해석이다.


WTO에 가입한 중국은 이미 시장 보호를 위해 반(反)덤핑 관세를 남발하기 시작했다.


21일에도 한국 등에서 수입되는 합성피혁 기초소재인 TDI에 대해 덤핑조사를 했다.


세이프가드와는 별도로 철강제품 반덤핑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중국이 산업보호를 위해 '반덤핑 조사'라는 무기를 뽑아든 것이다.


울고 싶은 중국이 뺨을 맞은 사례는 또 있다.


중국 WTO 협상 단장이었던 룽융투(龍永圖) 경무부 부부장은 최근 미국의 농산물 보조금 증액을 거론하며 "중국도 농가지원을 늘리겠다"고 말했다.농산물시장 개방을 WTO 협상의 최대 사안으로 내놨던 미국이 중국에 빌미를 준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움직임이 중국 WTO가입의 본뜻을 훼손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세계의 보호무역 움직임과 어우러지며 중국이 빼든 시장보호의 칼은 점점 날카로워지고 있다.


문제는 우리나라가 이같은 움직임의 가장 큰 피해자라는 사실이다.


반덤핑 공세의 경우 특히 그렇다.


중국이 최근 발표한 반덤핑 조사에는 여지없이 한국이 포함돼 있다.


최근 취해진 14건의 덤핑 조사중 12건이 한국기업과 관련이 있다.


7개 상품이 덤핑조사를 받고 있다.


중국의 반덤핑 공세를 막는 길은 분명해 보인다.


그들이 무시할 수 없는 기술을 확보해야 하고,단순 무역에서 벗어나 현지투자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정책당국과 기업간 공동대응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정부 기업 모두 대(對) 중국전략을 새롭게 짜야 할 때다.


이 것이 중국의 철강 세이프가드 발동에서 우리가 얻어야 할 교훈이다.


베이징=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