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의 68%가 공장을 해외로 이전할 계획이라는 상공회의소 조사자료는 간단히 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국내 제조업 공동화가 4,5년내(49.5%) 또는 늦어도 5,10년내에 발생할 것(40.7%)이라고 응답하는 등 거의 대부분 기업들이 필연적으로 제조업 공동화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점은 더욱 충격적이다. 해외이전 계획을 가진 기업의 65.2%가 이전 대상국가로 중국을 지목한 점은 공장 해외이전을 초래하는 동인(動因)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보여주고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5T 등 한국의 산업분야 신기술 수준이 선진국과 7,8년의 격차가 있고 항공우주 등 일부 분야에서는 이미 중국에도 추월당하기 시작했다는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의 조사(한경 5월17일자 보도)결과는 한국 제조업의 미래에 대해 우려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신기술은 선진국에 밀리고 생산거점은 중국으로 빠져나간다면 5년 후 10년 후엔 과연 어떤 산업으로 한국경제를 지탱할 것인가 말이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우리경제를 회복시킨 동력이 다양한 제조분야 산업포트폴리오였다는 것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 등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대만과 싱가포르의 부진,그리고 일본의 10년에 걸친 장기적인 경기침체가 제조업의 공동화와 생산거점의 해외이전,특히 중국으로의 이전 때문이라는 것도 긴 설명이 필요없다. 그런데 바로 그런 현상이 미상불 한국에서도 나타날 것이라는 지적들이고 보면 문제는 심각하다. 재정경제부가 엊그제 설비투자 세액공제 제도를 6개월 연장해 올연말까지 운영키로 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단순히 세제혜택 만으로 지난 1분기중 2%에 그쳤던 설비투자가 충분히 늘어나기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정부는 단기적인 경기대책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산업공동화를 막고 산업기술의 고도화를 달성한다는 차원에서 설비투자 활성화를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