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는 팔렸어도 뒤처리는 산넘어 산.' 대우자동차 해외법인의 부채가 본사로 이관되는 등 매각을 위한 절차가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매각대금 분배를 놓고 채권단 내부에서 분란이 빚어지는 등 사후처리가 난항을 겪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확정된 대우차 매각대금은 제너럴모터스(GM)가 만들 새로운 법인의 우선주 12억달러 어치가 전부다. 향후 부산 버스공장과 군산 트럭공장, 해외법인을 매각해도 대부분 부채이전 방식으로 처리될 가능성이 높아 추가적인 현금 유입은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조만간 논의가 시작될 12억달러의 우선주 분배 문제를 놓고 채권자간 물밑 신경전이 치열하다. 대우차 최대 채권자인 자산관리공사의 행보가 특히 심상치 않다. 자산공사는 대우차 매각 본계약이 체결되기 직전 대우차 부채 처리문제를 놓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법인 매각을 원활히 하기 위해 대우차 현지법인들이 (주)대우에 진 매출채무 44억달러를 대우차 본사가 (주)대우에 갖고 있는 채권과 상계시키는 안을 내놓은 산은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것. 과거 대우차가 (주)대우를 통해 차를 수출하면서 발생한 '(주)대우는 대우차 본사에, 현지법인들은 (주)대우에 매출채무를 갖고 있던 복잡한 채무관계'를 해소하기 위해 상계처리안이 불가피하다는 산은 설득을 자산공사가 받아들이긴 했지만 '빚잔치'를 둘러싼 실랑이가 앞으로 간단치 않을 것임을 엿보게 했다. (주)대우에 대해서도 상당한 채권을 안고 있는 자산공사가 산은의 상계처리안에 반발했던 것은 '대우차 본사로 모든 빚이 넘어가면 채권회수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차에 들어간 공적 자금을 한 푼이라도 더 회수해야 할 자산공사가 특히 빚잔치를 놓고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는 대우차에 대한 총채권 6조4천여억원 가운데 담보채권의 비율이 10% 남짓에 불과한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자칫하다가는 빚잔치 과정에서 산업은행과 서울은행 등 담보채 비율이 높은 다른 채권기관들에 비해 불리한 처지가 될 수 있기 때문. 이에 따라 자산공사는 향후 매각대금을 나눌 때 담보권 순위대로 분배하면 이에 동의하지 않겠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 산업은행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담보채 비율이 높은 상당수 은행들이 이같은 입장에 반대할 것이 분명해 향후 빚잔치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결국 자산공사가 향후 매각대금 분배과정에서 다른 채권은행들과 의견이 엇갈려 분배안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얘기다. 이렇게 되면 대우자동차 정리계획안이 통과되지 않는 것은 물론 대우차와 GM간 매각계약도 무효가 된다는 점에서 그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이란게 채권단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