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그룹의 은행부문 기능재편 방안에 대해 해당지역 지자체장들이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나섰다.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이 한빛은행으로 흡수통합될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타격을 주게 된다는 것이 반대 이유다. 하지만 수익성이나 경쟁력이 아닌 지역정서 차원에서 부실은행의 진로를 결정한다는 건 도무지 설득력이 없다. 1백50조원이나 되는 천문학적인 규모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는 국가적 과제인 금융구조조정 문제에 대해,두 지방은행 노조의 반발과 지역주민들의 정서를 등에 업고 선거를 앞둔 지자체장들이 반대입장을 표명한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 이들 은행의 합병을 더이상 늦출 수 없다는 건 여러모로 분명하다. 우선 국가경제 차원에서 보면 이 문제는 그동안 두단계에 걸쳐 진행됐던 금융구조조정을 마무리한다는 의미가 있다. 정부가 오는 6월 우리금융 그룹의 주식상장을 추진하는 것이나 공적자금이 투입된 다른 시중은행들의 지분매각을 서두르는 것은 은행 민영화를 통해 국내 금융산업을 정상화하기 위한 노력에 다름 아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이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A등급으로 회복된 것도 정부의 이같은 노력을 감안했다고 봐야 한다. 우리금융 그룹의 은행부문을 한빛은행으로 일원화하는 것이 그룹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유리하다는 A T 커니사의 컨설팅용역 결과 역시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금융측은 합병추진위를 구성하고 통합작업을 본격화해야 마땅하다.두 지방은행측은 지난해 상당한 이익을 냈고 올해엔 그보다 훨씬 많은 이익이 예상된다며 컨설팅 결과의 타당성을 의심하고 나섰다. 그러나 중요한 건 한두해 이익을 냈다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과 그룹 전체의 경쟁력 강화라고 볼 때 노조측의 반발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한다. 합병대상 은행에 대한 애착심 같은 지역정서는 이해 못할바 아니지만 국가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은행통합을 막기에는 명분이 약하다. 일부에서 거론한 것처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돕고 해당 지방은행의 고객이탈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면 해당 지역본부에 '우리 경남'이나 '우리 광주'라는 이름을 붙이고 지역금융의 비중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높이도록 배려하는 방안은 검토해볼만 하다. 어쨌든 두 은행 문제는 경제논리로 풀어야 한다. 어떤 경우에도 특정집단이나 지역의 이해관계 때문에 금융구조조정을 지연 또는 무산시키는 일은 결코 용납돼선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