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파크(TP)가 지역맞춤형 기술혁신의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각 지방의 경쟁 우위 기술분야를 중심으로 산.학.연.관을 연계한 기술 집적단지가 조성되면서 지역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이미 지난 70년대 이후 TP 건설을 적극 추진, 세계적인 첨단 기술의 산실로 탈바꿈시켰다. 미국과 영국은 대학 등 민간 주도로 각각 1백30여개 및 50여개의 TP를 조성,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등 신산업 분야의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또 일본(70여개) 프랑스(40여개) 대만(10여개) 등은 정부 주도로 TP 프로젝트를 추진, 국가 전략기술 개발의 전초기지로 육성해 오고 있다. 선진국들은 이를 통해 지역간 균형발전과 산업.기술 특화 대학과 기업의 신기술을 활용한 벤처창업 촉진 고급 기술두뇌 활용을 통한 신규고용 창출 등 다양한 부수 효과도 거두고 있다. 한국도 TP 역사는 불과 5년여밖에 안되지만 지역 특성에 기반을 둔 '연구개발(R&D) 집적단지'로 육성, 전국을 연계한 국가혁신센터(NIS)와 외국인 투자유치의 핵심 축으로 삼을 계획이다. 현황 =지난 97년 정부 주도로 시작된 TP 사업은 내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5천6백24억원이 투입, 송도(송도매립지) 안산(한양대) 대구(경북대) 경북(영남대) 광주.전남(광주첨단산업단지) 충남(천안.아산) 등 6개 단지 조성과 연구시설 건설을 완료한다. 또 2000년부터 지자체가 추진중인 포항(포항공대) 부산(동아대) 등 2곳의 TP는 2004년 준공된다. 현재 6개의 정부 주도 TP에는 3백37개의 창업보육 기업이 입주, 1백17건의 연구개발 실적을 내고 있다. 특히 대구 TP에 입주한 IC코리아의 경우 첨단 교통관제시스템을 개발, 1천만달러의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한데 이어 올해 코스닥 등록을 앞두는 등 TP 사업의 효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정책방향 =정부는 TP 활성화를 위해 각종 혜택을 주고 있다. TP의 시험생산시설에 대해선 수도권 총량제의 예외로 인정하고 개발부담금 산림전용부담금 교통유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을 면제하고 있다. 또 입주기업의 임직원으로 근무하는 교수와 연구원의 휴직 및 겸직을 허용하는 한편 단지내의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와 등록세를 면제하고 재산세와 종토세의 50%를 경감해 주고 있다. 아울러 TP를 통한 산.학.연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별 신기술창업보육(TBI)사업의 심사.평가권한을 해당 TP에 맡기고 있다. 정부는 TP를 벤처기업의 동북아 진출기지로 활용한다는 목표 아래 생산.연구시설 입주와 경영 마케팅 인력 등 기업 지원 측면에서 하이테크 벤처기업에 우선권을 줄 방침이다. 또 상반기중 영국 핀란드 등 선진 TP의 경영기법 벤치마킹을 위한 민.관 합동 조사단을 파견하고 하반기에 서울 코엑스에서 '2002 아시아 사이언스파크 협의회'를 개최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정한영 기자 c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