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북한의 휴대전화 사업 때문에 말못할 고민에 빠져 있다. '퍼주기식 지원'이라는 비판이 일까 드러내놓고 북한을 도울 수도 없고,그렇다고 눈뜨고 앉아 외국업체가 북한의 이동통신사업자가 되는 걸 볼 수도 없어서다. 외국업체가 북한에서 이동통신사업자가 되면 통일후 외국업체가 통일 한국의 절반에 가까운 시장을 장악하게 될 것이라는게 정통부의 우려다. 북한의 이동통신 사업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당서기처가 중심이 돼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는게 정통부의 관측이다. 북한에서의 이동전화 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태국의 록슬리 퍼시픽사다. 이 회사는 북한 조선체신회사와 합작해 동북아 전화통신사(NEAT&T)를 설립,나진·선봉 자유무역지대에서 남한의 CDMA(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과는 다른 유럽 GSM방식 이동통신 사업을 준비중이다. 28년간 사업권을 보장받는 형식으로 진출했다. 록슬리는 기세를 몰아 평양지역에서도 이동통신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뛰고 있다. 정통부 관계자는 "통일이 되면 북한내 이동통신 수요가 크게 늘 것인데 외국업체에 넘어간 사업권을 되사 CDMA방식으로 바꾸려면 엄청난 비용이 들 것"이라며 "국내 통신업체가 일정기간 사업권을 보장받고 해외에 진출하는 것처럼 북한에도 같은 방식으로 들어가는게 훨씬 경제적"이라고 말했다. 국내 통신업체들은 평양지역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하려면 수백억원가량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정도 돈을 들여 사업권을 사들이는 건 충분히 투자가치가 있다는 판단이다. 이에따라 SK텔레콤 KT(한국통신)등은 북한 방문을 적극 검토하는등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이동통신 사업은 남의 일이 아니다. 통일후 한반도의 통신정책을 어떻게 이끌고 갈 것인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응해야 한다. 만약 국내업체들의 진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강현철 산업부 IT팀 기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