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지난 3분기 국민총소득(GNI) 잠정추계 결과는 향후 경제운용과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선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당초 예상보다 높은 1.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나자 한 때 경기가 저점을 통과한 것 아니냐는 성급한 분석이 나오기도 했으나 이는 지나친 낙관이었다는 것이 확인됐다는 점이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지난해 대비 1%대의 성장을 유지해 왔던 GNI가 3분기에는 0.2% 성장에 그쳐 체감경기는 오히려 더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난 2분기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1.7% 성장으로 반전된 것이라 할 수 있겠으나 이것만으로 경기가 저점을 통과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런 추세가 적어도 2분기 이상은 지속돼야 경기회복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이와같이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큰 폭의 소득 국외유출이 지속돼 2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중에만 교역조건 악화로 국외로 빠져나간 무역손실이 18조3천억원에 달해 같은 기간중 GDP의 15%에 이를 정도다. 이러다 보니 생산증가가 소득증가로 이어지지 못해 지표경기와 체감경기간 괴리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교역조건의 악화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라고 하겠으나 뽀족한 대책이 없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나 공산품 가격을 우리가 좌지우지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수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외치고 있으나 하루이틀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번 GNI 잠정추계 결과 저축률이 27.8%로 떨어져 15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것도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물론 수출부진에다 투자부진으로 경기침체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어느정도의 소비증가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고,아직까지는 저축률이 총투자율을 1.5%포인트 상회하고 있어 큰 문제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향후 경기회복으로 투자수요가 살아나면 총투자율이 저축률을 상회하게 돼 이런 현상이 장기화될 경우 다시 순채무국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GNI 잠정추계 결과는 저금리와 확장적 재정정책을 축으로 하는 현재의 경기부양책이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하지만 저축률이 큰 폭으로 하락해 있는 상황이어서 과도한 내수위주의 경기부양은 경상수지 적자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는 점도 아울러 경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