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인구증가추세 둔화가 예상보다 빨라져 2024년부터는 인구감소시대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이 지난 23일 발표한 '장래인구 추계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는 노령화와 함께 2023년 인구성장률이 '0'이 되어 인구감소시대를 맞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장래인구 추계는 해를 거듭할수록 예상보다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정책당국이 과연 제대로 대비하고 있는지 걱정스럽다. 실제로 이번 추계는 5년마다 실시하는 인구총조사를 토대로 지난 96년 발표한 장래인구 추계보다 인구감소 시점은 5년,노령사회 진입시기는 3년이나 더 앞당겨진 것이라고 한다. 근년들어 취업난 등으로 결혼연령이 높아지는 데다 독신주의자가 늘어 혼인건수도 줄고 아이를 아예 안낳거나 하나만 키우는 사례가 부쩍 많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인구감소시대가 더 빨리 다가올 가능성이 크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노령화와 인구감소에 따른 급변하는 구조변화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할 경우 경제 사회 전반의 활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지금부터 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우선 노령화사회가 되면 경제활동인구가 크게 줄어들어 노인층을 부양해야 할 사회적 부담이 만만치 않게 된다. 지난해 생산활동이 가능한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0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던 것이 2030년에는 3명이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얘기다.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인구감소추세는 노령화 문제만 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아직까지 경험해 보지 못했던 갖가지 문제들이 제기될 것은 분명하다. 지금부터라도 경제정책은 물론 노동 복지 교육정책 등을 재점검해 보아야 할 것이다. 예컨대 교육문제만 해도 적지않은 숙제가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오는 2004년엔 대입 지원자수가 입학정원보다 적어지고 초등학교 취학인구도 내년을 고비로 감소하게 된다고 한다. 인구감소시대가 되면 지금과는 판이하게 달라지리라는 것은 불을보듯 뻔한 일이다. 이미 일부 지방대학에선 정원 채우기가 쉽지 않은 판인데 앞으로 학생수가 더 줄어들면 학교재단 부실화의 문제가 심화될 것이다. 이밖에도 적정선의 출산율 유지,임금체계조정을 통한 고령근로자 활용,각종 연·기금 보험 등과 연계된 노인복지대책,여성인력 활용을 위한 탁아·육아분야 지원 등에 대한 대비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이같은 인구감소시대는 선진국에서나 겪는 남의 일로 여기거나 먼훗날의 과제가 아니다. 대책을 서두르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