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윤수 < 휠라코리아 사장 geneyoon@fila.co.kr > 요즘 널리 쓰이는 CEO란 말은 Chief Executive Officer의 이니셜이다.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CEO란 말이 1970년대 후반부터 자주 쓰이기 시작했다. 그 이전에는 사장이 기업의 최고 경영자를 뜻하는 말이었다. 그렇다면 사장이란 말로도 충분할텐데 왜 새로운 CEO라는 말을 쓰게 됐는가? 과거 기업의 사장에게는 전권이 주어진 것이 아니었다. 이사회에서 결정된 사항을 집행하는 역할이 사장의 중요한 임무였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경제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시장에서 여러 환경들이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다. 패션의 변화,새롭고 다양한 기술의 발전,새로운 문화의 융합과 생성 등 과거와는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띠게 됐다. 이와 같이 빠른 속도로 변하는 세상에서 기업의 생존 내지 발전을 위해서는 부득이 누군가 전권을 갖고 빨리 변화하는 시장환경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게 됐다. 이것이 바로 CEO인 것이다. 때문에 CEO는 무엇보다도 당해 분야의 전문가여야 한다. 또한 CEO가 반드시 사장이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CEO는 사장일 수도,또는 회장일 수도,심지어는 이사가 되는 경우도 있다. 말하자면 CEO는 때를 놓치지 않고 전권을 행사하는 최고경영 책임자다. 그러나 CEO가 가져야할 전권은 전횡이라는 말과는 분명히 구별되어야 한다. 전문성으로 무장이 되어있지도 않으면서 단순히 오너의 2세라는 이유때문에 CEO의 지위에 앉아 무지하게 권한을 마구 행사하는 경우가 바로 전횡이다. 이와 같은 전횡의 결과가 우리가 겪은 IMF(국제통화기금) 위기를 초래한 가장 큰 원인중 하나다. CEO에게 전권을 준다는 것이 반드시 CEO 마음대로 하라는 뜻은 아니다. 기본적인 경영철학,원칙,매뉴얼과 전문지식에 입각한 경영을 하라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경영의 결과가 좋을 리 없다. 또한 건전한 경영을 위해 CEO의 사적인 이해나,감정에 의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유능한 CEO는 권한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바로 이와 같은 점이 현대 CEO의 특성이라고 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