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마셔 취하고 은덕 받아 배불렀네/우리 님 만년토록 큰 복(景福)을 누리소서" 1395년 9월 새왕도에 궁궐과 종묘가 준공된 것을 축하하는 대연회에서 정도전은 '시경(詩經)'대아편의 시 한 구절을 외우며 태조에게 궁궐의 이름을 '경복'으로 하길 청했다. 조선의 정궁(正宮)경복궁의 이름은 이렇게 해서 생겼다. 경복궁은 주(周)나라 궁궐 배치의 기본인 전조후침(前朝後寢),삼문삼조(三門三朝)를 본받아 지은 궁궐이다. 맨앞쪽에 관료들이 집무하는 관청(外朝)이 자리하고 그 뒤에 정치를 하는 조정(治朝)을 두며 뒤쪽에 임금과 왕실의 거처인 침전(燕朝)을 배치한다는 원칙에 따라 전체를 3개의 독립구역으로 나눈 뒤 각 구역을 담으로 막고 문을 두어 통하도록 하고 있다. 창건초에는 3백90여 칸에 불과하던 건물들은 태종때 경회루를 짓고 세종대를 거치면서 점차 늘어나 그제서야 왕궁다운 면모를 갖췄다. 명종때(1553)는 대화재가 일어나 근정전 사정전을 제외한 건물들이 거의 다 잿더미로 변했다. 그 때 중건된 건물들도 임진왜란때인 1592년 완전히 불타버렸다. 황폐한채 방치됐던 경복궁은 왕실권위를 확립하려던 대원군의 집념으로 2백70년 만인 고종4년(1867) 겨울 2년7개월의 공사끝에 중건됐다. 당시 궁궐내 건물의 총 칸수는 7천4백81칸에 이르렀고 옛 건물이 위치와 규모를 되찾았다고 한다. 하지만 중건된 경복궁은 일본에 나라를 빼앗기는 바람에 처참하게 파괴 변형됐다. 일제는 광화문을 동쪽으로 이축했다. 광화문과 근정문 사이에 삼문삼조의 외조를 이루고 있던 흥례문을 허물고 1926년 그자리에 조선총독부 건물을 세웠다. 총독부 건물은 '역사바로잡기'방침에 따라 96년 폭파돼 사라졌다. 정부가 바로 그 자리에다 흥례문 행각 등을 복원하고 26일 낙성식을 갖는다는 소식이다. 경복궁복원사업중 가장 큰 의미를 지닌 복원이다. 기왕이면 청나라 건륭황제의 이름자를 피해 대원군이 중건할때 '홍(弘)'을 '흥(興)'으로 고쳤다는 문이름도 홍례문(弘禮門)으로 복원했더라면 좋았을 걸 하는 생각도 든다. 고광직 논설위원 kj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