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의 갈등구조가 예사롭지 않은 것은 다 아는 사실이지만 교육열이 유별난 탓일까,교육정책을 둘러싼 갈등만큼 고질적인 경우도 흔치 않은성 싶다. 크고 작은 교육정책이 나올 때마다 노선을 달리하는 교육단체 등의 이해관계가 얽혀 사사건건 갈등을 빚고 극한대립으로 치닫는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번에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소속 교사들이 교원성과급제도 등에 반발하여 수업중 조퇴를 해 집회에 나서고 예비교사인 교육대학생들도 초등교사 확충방안에 반발하여 동맹휴업을 강행하는 등,교직사회가 다시 술렁이고 있다. 전교조 집회와 교대생 휴업은 원만하게 수습이 안되면 교육현장에 심각한 피해를 줄수도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관심을 갖고 대처해야 할 사안이다. 전교조는 교직의 특수성 때문에 납득할 만한 평가기준을 찾기 힘들다며 성과급 차등지급 반대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다. 이를 무시하고 정부가 추석전인 지난달말 성과급을 차등 지급하자 집단반발로 맞서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사태는 정부가 교육계에도 경쟁원리에 입각한 성과급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나선 지난 2월부터 이미 예고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보완책 마련을 소홀히 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전교조가 자신들의 주장을 힘으로 밀어붙이기 위해 '조퇴투쟁'이란 비상식적인 투쟁방식을 선택한 것은 교사의 본분을 망각한 처사로 비판을 면할수 없다고 본다. 다행히 이번에는 다른 교사들의 도움으로 수업에 큰 차질이 없었다고 하지만 이달말 집단 연차휴가를 내는 등 투쟁수위를 높여나가겠다고 하니 학생과 학부모가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상황까지 치닫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전교조는 그 주장의 옳고 그름을 떠나 학생들을 볼모로 하는 방식의 투쟁은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초등교사 확충방안에 반대해 동맹휴업에 들어간 교대생들도 지나친 집단이기주의적 행동이라는 여론을 무시해선 안된다. 교대출신들이 도시지역 학교만을 선호해 농어촌지역의 초등교사 부족현상이 심각한 상황에서 기존 교대생을 1백% 임용하고도 모자라는 4천여명을 한시적으로 충원하겠다는 것인데 이를 반대한다는 것은 명분도 설득력도 없는 일이다. 정부의 교육관련 정책에 대해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고도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것은 발전적 접점을 찾으려는 노력을 전제로 해야 한다. 교육계마저 집단이기주의에 입각한 극한투쟁 풍조에 휩쓸린다면 우리나라는 정말 희망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