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생명의 경영권이 변경돼도 계약자들은 아무런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 다만 3조5천5백억원의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 지분 1백%를 갖고 있는 정부가 투입 자금을 얼마나 회수할 수 있을지가 미지수다. 정부는 지난 9월 투입한 1조5천억원을 매각 가격의 최저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다 63빌딩(장부가 8천억원)을 포함하면 최소 2조3천억원은 받아야 한다는 게 정부의 기본 입장이다. 그러나 최근 저금리로 생보사들이 역마진을 겪고 있어 향후 협상에서 매각 가격이 정부 생각보다 다소 낮아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또 매각 협상이 진행되면서 조직이 흔들리면 인력 유출 등으로 자산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때문에 매각 협상이 지연될수록 정부가 불리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예금보험공사측은 "대한생명이 지난 1.4분기(4∼6월)에 6백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낸 데다 상승세를 타고 있어 자산 가치가 떨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생측은 2.4분기 결산이 끝나지 않았지만 순익 규모가 전 분기를 웃돌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공적자금 추가투입 문제도 걸려 있다. 지난달 정부는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1조5천억원의 공적자금을 추가 투입했다. 그러나 6월말 현재 대생의 순자산 부족분은 1조7천2백96억원에 달했다. 공적자금을 붓고도 2천2백96억원이 부족한 셈이다. 예보 박승희 이사는 "공적자금을 추가 투입하기보다는 인수대상 업체와의 협상시 부족분을 매각 가격에서 빼는 방식을 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매각 가격은 다소 떨어지게 된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