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여 공조'가 무너진 비상정국을 수습하기 위한 첫 조치로 7일 부분 개각이 단행됐다. 이번 개각은 국무총리와 경제팀의 주요멤버들이 유임됨으로써,DJP공조 붕괴에 따른 자민련 몫의 몇몇 장관자리를 거두어들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수도 있지만 우리 정치사에서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소수 집권당의 '홀로서기'가 시작됐다는 점에서 단순히 장관 5명을 교체한 부분개각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특히 자민련 출신 총리의 유임을 둘러싸고 말들이 많고 새 각료들의 성향이나 전문성 등을 놓고도 여야의 평가가 엇갈리지만 지금 우리의 정치 경제적 상황은 공조파기의 책임소재나 각료들의 인물평에만 매달려있을 만큼 한가롭지 않다. 김대중 대통령이 국정쇄신의 의미가 희석되는 부담을 안으면서까지 자민련 출신 총리를 끌어안은 것은 공조붕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보다 포용력을 발휘해 하루속히 민심과 국정을 안정시키라는 국민 대다수의 요구에 따른 조치로 이해된다. 특히 교체설이 나돌기도 했던 경제팀의 핵심 멤버들을 유임시킨 것도 혁신보다는 정책의 일관성과 안정에 무게를 두고 내린 결정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사실 지금의 경제난은 경제관료만의 책임이라고 할 수 없고 또 현실적으로 경제정책의 선택폭이 넓지 못한 상황에서 정책담당자만 자주 바꾸는 것이 능사일 수는 없다고 볼 때,현 경제팀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시키기로 한 대통령의 결정에는 수긍이 간다. 그러나 경제팀이 유임됐다고 하여 이를 현 경제팀에 대한 국민의 신임으로 해석해선 곤란하다. 경제팀의 유임은 그동안 경제를 잘 운영해서라기 보다 경제여건과 대안부재론이 크게 작용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진념 경제팀은 다시 태어난 심정으로 당면과제인 경제살리기와 민생안정에 나서야 할 것이다. 그동안 기업구조조정을 비롯한 개혁성향의 경제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공동정권 파트너의 입장을 배려하느라 일을 제대로 못한 경우도 없지 않았다고 하지만 이제는 핑계를 댈 곳도 없어졌다. 당장 대우자동차 하이닉스반도체 현대투신 등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기업 금융 구조조정을 하루빨리 일관성 있게 마무리해야 한다. 여소야대의 정국에서,그것도 대통령의 레임덕현상이 우려되는 시점에서 소수 집권당이 경제개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다는 것은 지난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정치논리에 휩쓸리지 않고 '국민의 정부'가 내걸었던 개혁과제를 원칙에 입각해 소신있게 추진한다면 국민의 신임을 회복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