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한때 20%를 넘어섰던 배기량 800㏄이하 경차의 판매비중이 7% 아래로 뚝 떨어졌다. 이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경차 보급 활성화 방안이 크게 퇴색했기 때문으로, 경차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기존 지원책이라도 제대로 시행해야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아토스.비스토.마티즈.타우너.다마스 등 경형 승용과 상용차의 7월 판매는 8천710대로 6월보다 7.4% 감소, 전체 자동차 가운데 경차의 판매비중도 6.9%로 급감했다. 경차 판매비중은 96년 7.6%, 97년 6.8%에서 외환위기가 닥쳤던 98년 22.3%로 높아졌으나 99년 12.6%, 지난해 8.4%, 올 상반기 8% 등으로 점점 낮아지다 급기야 7월들어 외환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 전체 등록차량 중 경차의 비율(경차보급률)도 올해 상반기 7.1%에 그쳤다. 이는 선진국인 일본(26%), 이탈리아(45%), 프랑스(39%), 영국(11%) 등과 비교해현저하게 낮은 수준. 이처럼 경차 판매가 뒷걸음질치는 이유는 우리 국민의 `큰 차'에 대한 선호도가 남다른데다 자동차 업체들이 수익성 낮은 경차 판매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근본적인 이유는 정부.지자체가 지난 96년부터 시행한 경차 지원책이 유명무실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정부는 경차에 대해 전국 유료도로 통행료를 50% 깎아주도록 돼 있는 규정을 바꿔 감면폭을 30%로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중이고 지자체에도 경차의 공영 주차요금을면제 또는 할인해주고 업무용 차량 구입시 최대 50%까지 경차를 구매해줄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 또 취득세.등록세 중과세 규정이 없어지면서 경차 소유자가 누렸던 1가구 2차량중과세 면제 혜택도 사라진지 오래이며 이른바 `개구리 주차'도 더이상 허용되지 않고 있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는 이에 따라 최근 "통행료 감면율 축소는 정부가 나서서 추진했던 정책과 정면으로 어긋날 뿐 아니라 이 정책을 믿고 경차를 산 소비자들의 불만을 초래할 것"이라며 감면율을 그대로 유지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협회 관계자는 "일본은 통행료, 세금, 보험료를 깎아주고 있고 이탈리아는 면허취득후 3년간 경차 보유를 의무화하는 등 선진국도 경차 보급책을 적극 시행하고 있다"며 "현행 제도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추가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기자 keykey@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