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승희 한국경제연구원장 =구조조정은 크게 거시경제 정책을 통해 한계 기업을 퇴출시키는 방법과 항시 경쟁체제를 통해 비효율적인 기업을 퇴출시키는 것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외환위기 이후 지금까지 추진해 왔던 구조조정의 목적은 부채 경영에서 자본 경영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직접금융시장을 활성화해야 하는데 쉽지가 않다. 일본은 이 과정에서 실족해 10년 장기불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 총재 =한은이 현재 중심 통화지표로 삼고 있는 M3(총유동성) 증가율은 8% 전후로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M2(총통화) 증가율이나 유통 속도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금융권 자금이동이 심하고 금융시장간 전달 메커니즘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이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생기는 것으로 고쳐 가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 더구나 법제나 미시정책은 재경부와 금감위가 담당하고 있다. 김중수 경희대 교수 =일본은 경제운영 핵심부처간 정책 조율에 문제가 있어 거시경제 차원에서 적절한 대응책을 별로 내놓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재경부 금감위 한국은행간에 정책 조정과정에 문제는 없는지, 정책의 일관성은 유지하고 있는 것인지 걱정된다. 전 총재 =공식적으로 금융정책협의회와 경제장관간담회를 통해 의사결정을 내린다. 정책 결정자끼리는 '염화시중(拈華示衆.말을 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뜻을 전하고자 하는 행위)' 수준으로 의사 전달이 잘 되고 있다. 최경환 한국경제신문 전문위원 =한은이 작년 경기가 침체기로 접어들었을 때 금리를 인상했고 올해초 계속 경기상황이 안좋았는데도 상당기간 금리를 동결하는 등 늑장대응을 했다는 비판이 있다. 물가관리목표제를 도입함으로써 금융 정책의 수단을 제한시켜 놓은 것 같다. 중.장기적인 물가 목표를 설정해 통화신용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는게 필요하다. 전 총재 =작년 10월 금리를 올린 것은 올해 물가가 크게 오를 것으로 예측했기 때문이다. 금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시차(3개월후)를 감안할 때 작년 3.4분기때 금리를 올리는게 옳았다. 이달 금리를 내린 것은 향후 물가가 내려갈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