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을 고려할 때 북한의 산업입지로는 평양지역이 가장 탁월하며 동해안 지역에서는 청진과 원산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남북한 경제통합 이후 남한이 중점적으로 육성해야 할 산업으로는 반도체와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전기.전자분야가 꼽혔고 북한의 경우 가전 및 사무용제품 등 기술집약적 경공업 또는 부분적인 중공업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해 남북 정상회담 이후 통일 한국의 입지여건을 감안한 효율적인 산업배치방안 연구작업을 벌여 이같은 내용을 담은 ''통일한국을 향한 남북한 산업지도'' 보고서를 완성, 27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산업입지로 가장 탁월한 평양지역에는 음식료품, 섬유제품, 봉제의복, 가죽신발, 유리.시멘트, 철강금속, 전기.전자 산업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서해안의 안주공업지대에는 화학제품 제조업,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해주공업지대는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통신장비 제조업과 정밀기계 등 첨단산업에 적합하고 내륙인 강계공업지대는 펄프와 종이제조업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됐다.

동해안공업지구에서는 청진공업지대의 경우 금속산업 및 자동차 제조업에, 김책공업지대는 펄프 및 종이제조업에 우위가 있고 원산공업지대는 컴퓨터 및 사무용기,전자.통신장비 제조업 등 첨단산업단지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

종합적으로는 출판.인쇄, 장비.기계, 전기.전자업은 북한에서 성공 가능성이 높은 반면 석유정제, 담배제조, 조립금속, 플라스틱 분야는 적절한 공업지구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경제통합 이후 대북진출에 나설 경우 지역별.업종별 생산요소의 집약도와 기술수준, 투자규모를 고려해 투자손실 파급도를 최소화해야 하고 안보적인 측면에서 업종별로 군용으로 전용가능성이 있는 신소재, 전자장비, 항공전자공학 분야 등의 진출은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현재 북한경제현황으로 볼 때 50억달러의 투자가 효율적으로 이뤄지면 북한의 국내총생산(GDP)이 9.7%가량 성장할 수 있으나 남한과의 산업협력이 없을 경우 투자는 농업과 광업에 집중돼 북한 산업의 정체를 가져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대북경협에서 북한의 국영기업부터 시장경제 마인드를 갖도록 유도해야 하며 중장기 대북투자 재원으로는 일본이 북한에 대해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후 배상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