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분기 경제성장률 3.7%를 어떻게 볼 것인가.

통계자료를 만들어 낸 한국은행은 물론이고 대다수의 경제전문가들까지 국내경기가 하강국면에서 벗어났음을 보여준 것이라는 다소 낙관적인 해석을 내리고 있는 것 같다.

연초에 민간연구기관들이 예상했던 성장률(3.2∼3.5%)보다 높게 나타났고,특히 경기흐름을 알수 있는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지난해 4·4분기의 마이너스 0.4%에서 플러스 0.3%로 반전됐다는 점 등이 그 주된 이유다.

경기하강 국면에 종지부를 찍고 바닥다지기에 들어섰다는 진단인 셈이다.

그러나 속단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우선 3%대 성장률은 우리경제가 지니고 있는 성장잠재력의 절반수준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외환위기 직후의 마이너스 성장을 제외하고는 근래에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했던 초저성장률이란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는 지적이다.

또 분기별 성장률 추세를 보더라도 지난해 1·4분기 이후 계속 낮아지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어 경기저점을 통과했다는 명백한 근거를 찾기는 어려운게 사실이다.

더구나 성장내용을 들여다 보면 낙관보다 걱정이 앞선다.

국내소비와 투자는 계속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성장률이 전적으로 수출증가에 의존했고,업종별로는 정보통신산업의 성장기여도가 70%를 넘는 등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더욱 심화됐기 때문이다.

이는 국제경제 여건이 조금만 악화되거나 통보통신산업에 애로요인이 나타날 경우 경제전체가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과 다를바 없다.

결국 내수소비와 투자가 뒷걸음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예상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고 해서 경기저점 통과로 단정하는 것은 무리라는게 우리 생각이다.

다만 최근의 실물동향을 고려에 넣는다면 비관할 일만은 아니다.

본지 특별취재팀의 경제현장 점검결과(한경 22일자 1면) 미미하지만 두달째 생산과 소비가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바 있고,미국 경기둔화가 멈췄다는 오닐 재무장관의 평가도 있었던 만큼 세계경제의 호전도 기대해 볼만 하다.

특히 최근들어 국내 증시가 상승세를 타고 있는 것은 가장 강력한 조짐으로 받아들여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문제는 어떻게 하면 이같은 조짐들을 부추겨 기조적인 경기회복 국면으로 정착시켜 나가느냐다.

지금의 경기국면을 전환기적 상황으로 본다면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경기대책이 뒷받침돼야 한다.

검토중인 규제완화를 통한 기업의욕 제고는 물론이고 재정지출 확대 등을 좀더 과감하게 추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