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위기에 놓여 있는 금강산 사업이 계속되도록 하기 위해 현대아산 이외의 다른 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는 모양이다.

임동원 통일부장관이 수익성이 보장되면이라는 단서를 달기는 했으나 컨소시엄 구성문제를 공식제기한데 이어 지난 주말 열린 여·야·정 정책포럼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됐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금강산사업은 남북화해의 상징으로서 어떤 형태로든 계속돼야 한다는 점에서 돌파구 마련을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이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우리 생각이다.

그러나 이 방안이 성사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익성이 전제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아무리 남북화해의 상징이라고는 하나 민간기업에 수익성이 없는 사업을 계속하라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컨소시엄 성사를 위해서는 정부가 특정기업에 참여를 종용할 수밖에 없게 되고 이는 결코 바람직스러운 일이 아니다.

문제는 금강산 사업의 특성상 수익성 보장을 위해서는 남북한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안된다는 점이다.

사실 현대가 금강산 사업을 시작할 당시만 해도 북측의 기피로 우리 정부가 나서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다 보니 정부가 부담해야할 성격의 투자비 마저 현대가 부담해 수익성을 악화시킨 측면도 있다는 것을 부인하기 힘들다.

이런 부분이 있다면 이제 정부 또는 공기업이 그 비용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

아울러 해상 카지노 등 부대사업에 대해서도 전향적인 검토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금강산 사업의 수익성 보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북측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북측이 육로관광과 관광특구 지정을 허용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은 매우 고무적이다.

해상을 통한 입북으로는 관광요금이 비싸고 불편해 관광객 유치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관광특구 지정이 되면 각종 위락시설과 편의시설 확충에 유리해 관광지로서의 매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북측은 현대측이 이미 요청한 입북료 대폭 인하문제에 대해서도 입장을 명백히 밝혀야 한다.

묵묵부답으로 일관할 경우 컨소시엄 참여자로서는 수익성을 따질 수가 없어 참여 자체를 주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강산 사업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남북한 정부가 나서 수익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금강산 사업은 중단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남북한 정부가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