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26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는 그 내용이 예상보다 훨씬 비관적이어서 의외다.

예컨대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을 지난해 10월에는 3.2%로 내놓았으나 이번에 1.5%로 수정했고, 일본도 1.8%에서 0.6%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불과 6개월전 6.5%에 이를 것이라고 발표했던 올해 성장률을 이번에 3.5%로 수정했다.

물론 국내 연구기관들도 작년말 제시했던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이미 하향 조정해 공표한바 있기 때문에 결코 놀랄 일은 아니라고 보지만 국내연구기관들의 4%대 전망에 비해 IMF가 처음으로 3%대의 성장전망을 내놓은 것이어서 다소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는 IMF의 성장률전망이 절대적으로 정확하다고 보지는 않는다.

특히 3%대의 성장을 기록할지, 4%대를 기록할지는 좀더 두고 볼 일이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3월중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해 4.4분기 이후 지속돼온 가파른 소비 및 생산 위축이 다소 진정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기선행지수가 2개월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한 실물경제 동향을 보더라도 너무 비관할 일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IMF의 경제전망보고서 발표를 계기로 우리가 분명하게 인식해야 할 것은 생각보다 세계경제의 침체가 심각하고, 장기간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이는 대외의존도, 특히 미.일의 경제동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우리경제로서는 보통 심각한 사태가 아니다.

이미 실업자가 1백만명을 넘어선 마당에 추가적으로 더 늘어난다면 우리사회가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것이고, 국민소득의 감소와 그로 인한 소비위축→투자감소→경기침체의 악순환에 빠져들 우려도 없지 않다.

따라서 이제는 더 이상 머뭇거릴 여유가 없다고 본다.

세계경기의 침체를 전제로 한 경제운용계획의 전면적인 재점검을 서둘러야 할 때다.

정부는 그동안 검토해온 ''비상계획''을 하루빨리 현실화시키고, 경기의 급격한 추락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재정.금융대책을 강구해 실행에 옮겨야 한다.

특히 외환위기 이후 우리경제는 지역간 계층간 산업간의 경기 및 소득격차가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로 인해 지표경기와 체감경기의 괴리가 깊어지고 서민들의 불황감을 더해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정사실로 굳어져 가는 저성장시대를 극복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같은 경제의 2중구조를 완화하는 특단의 대책이 함께 강구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