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 노조 폭력진압 사태에 대한 논란이 사건의 본질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질되고 있음은 우려할만한 일이다.

우리는 이번 사태가 경찰의 주장대로 억류당한 의경들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우발적인 것이었다 하더라도 이번처럼 누가봐도 지나친 폭력에 의한 과잉진압은 지탄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쇠파이프와 화염병이 난무하는 폭력시위는 결코 용납돼서는 안될 것이다.

대우차 과잉진압 사태는 이제 본질에서 벗어나 정치쟁점으로 비화되고 ''춘투(春鬪)''의 과격화에 빌미가 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걱정이다.

야당은 이 문제를 현 정권의 도덕성과 결부시켜 연일 정치공세를 펴고 있으며 노동단체 지도자들은 올봄의 임단협상과 연계시켜 강공책을 채택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례적으로 지난 17일 김대중 대통령이 직접 나서 폭력진압에 유감을 표명한 것이나 경제5단체가 과도한 논쟁을 경고하는 재계의 입장을 밝힌 것도 바로 이같은 우려에서 나온 것으로 이해된다.

물론 대통령의 유감표명은 너무 성급한 것이 아니냐는 반응이 없는 것은 아니다.

경찰과 재계의 주장이 아니더라도 분명 이번 사태는 경찰만의 잘못이라기 보다 노조의 지나친 행동에서 비롯된 측면도 없지 않다.

그러나 그냥 어물어물 넘어갈 사안도 아님이 분명할진대 대통령의 조기 유감표명은 사태수습의 전기가 돼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오래끌어서는 어느쪽도 득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야당과 노동계가 이번 사태를 당리당략이나 강경투쟁으로 연결시키려 한다면 이는 사태의 본질을 왜곡하는 것이며 이같은 행동은 문제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노사불안을 심화시켜 대우자동차 등 해외매각을 앞두고 있는 기업들의 정상화는 물론, 국가경제 회복에도 찬물을 끼얹게 될 것이다.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여론이 노조측에 동정적이라고 해서, 또 대통령의 유감표명이 있었다고 해서 앞으로 노조의 불법 행위가 용인될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쇠파이프와 화염병이 합리화될 수는 없으며 공권력의 정당한 행사를 가로막는 무정부적인 분위기가 허용돼서는 안된다.

이번 불상사를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는 흔들릴수 없는 우리의 경제적 과제이다.

하루속히 노사정 모두가 대우차사태의 족쇄를 벗어던지고 국가차원의 경제회생 노력에 힘을 합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