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오전.

이날따라 아침부터 채권금리가 급등했다.

몇명의 채권딜러들에게 이유를 물어봤다.

한결같이 ''2월중 산업활동동향''이 예상보다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라는 설명이었다.

통계청은 28일 오전 11시 기자설명회를 가졌고 보도시점은 30일자 조간신문이었다.

그러나 기자설명회가 채 끝나기 무섭게 2월 산업동향 수치는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비밀''이 되고 말았다.

통계발표와 보도관리가 모두 느슨해 일부 공무원이나 기자들을 통해 입에서 입으로 퍼져 버렸기 때문이다.

일반인들이 통계 정보를 접한 시점은 하루 뒤인 29일 낮 12시였다.

이런 현상은 다음날인 29일에도 재연됐다.

채권딜러들은 3월 물가상승률이 0.6%에 달한다는 정보를 미리 입수하고 보유채권을 팔아치웠고 금리는 당연히 뛰었다.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3월중 소비자물가 동향''이 일반에 공개된 시점은 30일 오전 10시가 지나서였다.

보도자료는 그날 아침에 배포됐고 조간신문에는 31일자에 보도됐다.

그렇다면 일부 채권딜러들은 보도자료 배포시점보다 적어도 24시간 먼저 통계숫자를 정확히 알고 채권매매에 나섰다는 얘기가 된다.

28,29일 이틀간 3년만기 국고채 수익률은 0.40%포인트나 뛰었다.

미국에선 시장에 영향을 미칠 통계는 발표전에 최대한 보안을 유지한다.

물가 고용 소비자신뢰지수 등 주가에 민감한 통계일수록 사전 엠바고 없이 발표 즉시 보도한다.

IMF 역시 ''통계공표기준''을 통해 모든 시장참가자들이 동시에 통계정보를 입수할 수 있도록 통계작성기관에 권고하고 있다.

시장경제로 이행할수록 시장가격(금리 주가 환율 등)은 통계변수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게 마련이다.

금융감독위원회는 지난해 상장기업인 한 종금사를 주식시장이 개장된지 30분이나 지난 시각에 영업정지시켰다.

투자자들이 어떤 혼란을 겪어야 했는지 짐작하고 남음이 있다.

당국은 시장규율을 거론하기 전에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조치나 통계발표부터 세심하게 다듬을 일이다.

오형규 경제부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