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채권단의 출자전환으로 본격적인 회생의 길을 걷게 됐다.

채권단은 서둘러 현대건설의 부실을 털어내고 부채를 자본으로 전환함으로써 재기의 발판을 마련케 해준다는 계획이다.

채권단은 현대건설의 부실이 예상보다 크지만 대외 신인도와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고려해 이같은 특단책을 쓰기로 결정했다.

◇ 출자전환으로 살린다 =정부와 채권단은 현대건설의 해법으로 ''부채의 출자전환(debt-equity swap)''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본다.

자산을 초과하는 부채규모가 9천억원에 달해 자력갱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현대건설을 법정관리나 워크아웃 등으로 처리할 수도 없다.

시장의 충격이 워낙 큰 탓이다.

국내 최대의 건설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하청 업체들이 연쇄 부도에 휘말리는 것은 물론 한국경제의 대외 신인도 역시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된다.

특히 법정관리 상태에선 해외 공사수주 등 영업활동이 위축돼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

정기홍 금감원 부원장이 "현대건설 처리는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때문에 정부와 채권단은 이미 오래전 부터 마지막 카드로 출자전환을 준비해 왔다.

채권단은 현대건설 차입금 규모가 4조5천억원에 달하지만 올해 7천4백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이행하고 출자전환으로 차입금을 줄이면 자체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을 부담하면서 연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최대한 서둔다 =채권단은 출자전환을 최대한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시간을 끈다고 나아질게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화회계법인의 자산실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라도 출자전환하는 것을 검토중이다.

일단 삼일회계법인의 감사결과를 바탕으로 출자전환을 하고 나중에 자산실사 결과를 반영한다는 것.

이에 따라 28일 결산보고서 공개와 29일 현대건설 주총을 전후해 채권단회의를 열고 출자전환을 확정지을 가능성도 있다.

채권단은 자본잠식 규모와 경영정상화를 위한 적정 자본금을 감안해 최소 1조원 이상을 출자전환할 계획이다.

그러나 출자전환 규모는 최종 자산실사 결과와 감자비율 등에 따라 재조정될 수 있다.

채권단은 출자전환액이 확정되면 총채권에서 회사채 등을 제외한 차입금 비중에 따라 금융회사별 전환규모를 결정하게 된다.

또 현대건설의 조기 회생을 위해 출자전환후 채권단이 신규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 경영진은 어떻게 =출자전환이 이뤄지면 채권단이 현대건설의 대주주가 된다.

따라서 기존 경영진의 물갈이가 불가피하다.

채권단 관계자는 새로운 경영진과 관련, "현대건설과 건설업을 가장 잘 아는 사람에게 맡길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업의 특성상 경험이 없는 경영진으론 현대건설을 살릴 수 없다는 판단이다.

채권단은 조직을 장악하고 경영을 정상화할 수 있는 인물을 현대 내부에서 물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건설 사장을 지낸 L모씨 등이 거명되기도 한다.

이사회 의장은 정몽헌 회장이 맡기로 양해가 이뤄졌다는 말도 있다.

한편 현대건설의 대주주가 채권단으로 바뀌면 현대그룹의 지배구조도 달라진다.

건설이 계열사에서 빠질 경우 정몽헌 회장은 현대엘리베이터를 통해 지주회사 격인 현대상선을 지배하게 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정 회장의 장모인 김문희 씨가 최대주주다.

하지만 현대전자와 중공업도 계열분리를 앞두고 있다.

현대그룹은 상선 엘리베이터 종합상사 택배 등만을 거느린 소그룹으로 전락하게 된다는 얘기다.

김상철.차병석.김준현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