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6 개각''에서는 유난히 정치인들의 입각이 두드러진게 특징이다.

이한동 총리를 비롯해 정치권 인사가 내각에 무려 9명이나 포진했으니 ''정치내각''이라는 평가는 당연히 나올만 하다.

박준영 청와대 대변인은 "당정간 협력과 사전 및 사후 정책협의,대야관계와 추진력 등이 고려됐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남은 개혁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선 당정의 협력체제 구축과 책임행정 실현이 절실하며 정치인 입각이 그 해답이 될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그 저변엔 아마도 당 역할론이 자리하고 있지 않나 싶다.

이제까지 국민적 관심사가 됐던 주요 정책을 정부에 맡겨 제대로 된 일이 없는 만큼 앞으로는 당이 주요정책을 주도하도록 하겠다는 논지다.

여권 고위관계자들이 "정치인들은 민심을 제대로 읽기 때문에 책임정치를 구현할 수 있다"고 정치내각에 적극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굳이 서구 선진국의 예를 차치하더라도 ''표를 먹고사는''정치인이 책임정치를 하는 데는 제격이라는 주장은 일리가 있다.

내부적으로 민주당만으론 정국운영이 불가능한 현실을 감안할때 자민련및 민국당과의 정책연합을 추진하다보니 자연 정치인의 입각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소수정권의 한계론''도 어느정도 설득력이 있다.

문제는 3당이 나눠먹기에 집착하다보니 인선이 스스로 내세운 원칙과 기준에 과연 부합하느냐는 본질적인 의문이 제기된다는 점이다.

박준영 청와대 대변인은 "능력과 개혁성, 국민적 평가 등이 인선 기준이 됐다"고 말했으나 내각에 포진한 정치인 면면은 기준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많다.

일부 전문성이 고려된 인사도 없지는 않지만 상당수 신임 장관은 전문성은 물론 개혁성에서도 떨어진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야당이 ''최대의 개악''이라고 비판한 것은 별도로 하더라도 일부 인사는 국민정서를 무시한 채 물타기한 측면이 없지 않다.

이번 개각이 의약분업 문제 등으로 허탈해하고 있는 국민을 다시한번 실망시키는 ''또다른 시험''이 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재창 정치부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