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개혁을 마무리하는데 최대 걸림돌인 현대건설 처리가 채권단의 출자전환(빚을 해당 기업의 주식으로 바꿔 주는 것)이라는 최후의 수순을 밟는 방식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일부 은행장들이 시장 불안요인을 말끔히 걷어내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출자전환의 불가피성을 주장하면서 불거진 이같은 처방은 특혜시비 논란에 부닥칠 수 있어 최종 방안으로 결정되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 왜 출자전환인가 =출자전환은 현대건설을 살리겠다는 마지막 카드다.

현대건설은 지난해부터 네차례의 자구 노력을 통해 1조2천억원의 빚을 줄였지만 여전히 빚 규모가 4조5천억원에 달한다.

자체 영업만으로는 이 빚을 감당하기 힘들고 운영자금 확보도 어려운 수준이라는게 채권단의 판단이다.

시장 원리대로 한다면 다른 부실 기업들처럼 문을 닫아야 할 처지다.

하지만 ''현대건설''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복잡해졌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현대건설이 문을 닫으면 해외건설 수주가 모두 끊기는 것은 물론이고 국내 경제에도 커다란 피해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같은 정책당국의 판단에서 나온게 바로 출자전환에 의한 과감한 빚 감축이라 할 수 있다.

◇ 출자전환의 전제 =채권단은 두가지를 출자전환의 전제 요건으로 내걸었다.

하나는 자구 노력이 부진할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자구노력 여부에 관계 없이 회계법인의 실사 결과 자생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다.

이에 대비해 채권단은 대주주의 출자전환 동의서를 받은 후에야 현대건설이 요청한 4억달러의 자금(해외건설 지급보증)을 지원키로 했다.

이와 관련, 현대건설은 채권단에 올해 7천4백85억원의 빚을 추가로 줄이겠다는 자구계획을 낸 상태다.

정몽헌 이사회 회장이 3백37억원을 출자하고 서산농장 매각을 통해 2천5백50억원, 계동 사옥을 팔아 1천74억원 등을 마련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예정대로 진행되면 현대건설의 빚은 지난해말 4조5천억원에서 올해 말에는 3조8천억원 가량으로 줄어든다.

하지만 이같은 자구 내용은 지난해 수차례에 걸쳐 발표했던 내용과 별반 다를게 없다는 점에서 성사 가능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또 설사 자구노력이 모두 이뤄지더라도 과연 이 정도로 현대건설의 경영 정상화가 이뤄질지는 판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해만 해도 채권단은 현대건설의 빚이 4조원이면 영업이익으로 충분히 금융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고 판단했지만 최근에는 빚을 3조5천억원 대로 줄여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일부에서는 빚을 2조원 대로 줄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김승유 하나은행장은 "더 이상 나올 자구 내용도 없고 시장도 믿지 않고 있다"며 "채권단이 빚을 확실히 줄여주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계법인의 실사 결과도 주목된다.

영화회계법인은 오는 3월2일부터 실사에 들어가 2~3개월 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 결과 현대건설이 자체 회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도 채권단의 출자전환은 불가피하다.

◇ 특혜논란 불가피 =현대건설에 출자전환을 하는 것은 특혜라는 시비를 불러올 소지가 있다.

이연수 외환은행 부행장은 "출자전환을 할 경우 경영권을 박탈할 것인지, 기존 대주주에 대해 감자(減資.자본금 감축)를 할 것인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건설회사라는 특성상 기존 경영진을 교체하는 것은 영업력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해 경영권 박탈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대주주 경영권 박탈 및 경영진 교체가 논란거리로 등장할 전망이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국가 경제 차원에서 현대건설을 살리려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왜 현대건설엔 기존 부실기업 처리와는 다른 원칙이 적용되는지를 국민에게 납득시키는 일이 숙제"라고 지적했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