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는 단순히 주식을 파는 것만이 아니다"

한국통신 민영화는 예정대로 다음달초부터 본격 진행된다.

14.7%의 정부 지분이 국내에 매각되는 것을 시작으로 오는 2002년 상반기까지 "공기업"이라는 타이틀을 벗어 던지고 민간기업으로 모습을 바꾸게 된다.

하지만 정부 주식을 매각한다고 완전한 민간기업으로 탈바꿈하는 것은 아니다.

오랫동안 고착화된 한국통신의 공기업적 체질이 변화되지 않는 한 민영화로 인한 기업경쟁력 강화는 요원하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관료적인 조직체계, 방만한 경영 및 자회사 운영, 민간기업에 비해 안일한 구성원들의 의식구조 등이 먼저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내에 막강한 힘을 행사하는 노동조합과 어느 선에서 타협점을 모색하는가도 민영화로 가는 길목에 도사린 걸림돌이라는게 업계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의견이다.

◆ 고인 물은 썩는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한국통신이 전체 통신서비스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0%를 웃돌았다.

경영을 개선하거나 직원들의 마인드를 개혁할 만한 유인이 없었던 셈이다.

인력구조도 이러한 조직의 생리를 대변한다.

한국통신의 종업원 숫자는 총 4만7천여명.

이중 75% 가량이 사원과 대리 직급의 직원들이다.

그만큼 인사 적체가 심각하다는 얘기다.

인건비도 여타 민간기업보다 많아 전체 매출의 25% 안팎에 달한다.

한국통신은 지난 몇년간 꾸준히 인력을 감축해 왔다.

지난해에는 1천2백명 가량을 줄였고 올해도 분사 등을 통해 오는 4월까지 1천6백여명을 정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최근 잇따라 따낸 IMT-2000(차세대 영상이동통신) 사업과 위성방송사업 등 신규 사업을 감안할 때 실질적으로 한국통신이라는 공룡의 몸무게가 줄어들지는 미지수다.

정책결정 과정이 정부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한국통신을 현실에 안주하게 만들었다.

이는 뒤집어보면 정부의 간섭이 그만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반증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지분매각 과정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서도 이같은 의존성은 속히 떨쳐 버려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서용원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하이테크3팀장은 "정부가 현재 규제하고 있는 부분들에 대한 투명성이 확보돼야 한다"며 "예컨대 시내전화 요금이 언제부터 인상되는지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기업가치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관료적인 조직구조나 마인드를 개선하기 위한 한국통신의 노력도 미미한 수준이다.

특별히 잡혀 있는 계획이나 일정도 없다.

"2002년 이후 새 주인이 나타나면 어차피 이뤄져야 할 과정인데 지금 계획을 잡는다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일 아니냐"며 "직원들의 의식도 그때가 돼야 바뀌기 시작할 것"이라는 한국통신 관계자의 말이 직원들의 소박한(?) 민영화 의지를 대변한다.

◆ 방대한 자회사 정리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한국통신의 대규모 부당내부거래에 대해 3백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한통이 한국공중전화 한국통신산업개발 한국통신진흥 등 3개 자회사와 용역위탁을 수의계약하면서 인건비 등을 편법 과당계상하는 수법으로 4천3백89억원의 부당내부거래를 해 총 4백39억원의 부당이득을 주었다는게 공정위의 지적이다.

한통은 이에 대해 자회사에 지급한 노임 단가는 ''정상''을 벗어나지 않은 가격이라고 주장하지만 업계 관계자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한통을 포함한 공기업들이 여전히 자회사 지원이라는 구태의연한 경영행태를 반복하고 있다는게 중론이다.

한통은 이같은 업계 반응을 의식해 현재 거느리고 있는 총 8개의 자회사중 세 곳을 정리할 계획이다.

한국통신산업개발은 올 1.4분기 내에, 한국통신기술과 한국통신진흥은 올 2.4분기 안에 매각할 예정이다.

◆ 거대 노조, 넘어야 할 산 =현재 한통의 정규직 사원 노조원은 3만8천여명이다.

전체 정규직 사원의 80%에 해당하며 단일 노조로는 국내 최대규모다.

한해 노조 예산만 50억원에 달한다.

중앙본부를 포함해 11개의 지방본부 및 3백25개의 지부 등 조직도 방대하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인력조정이 힘들다는 것은 누구나 쉽게 눈치챌 수 있다.

"한통 구조조정의 최대 난관은 노조의 동의를 얻어내는 것"이라는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 설득력을 갖는 대목이다.

하지만 향후 노조의 행보가 전투적인 성향을 띨 정도는 아닐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류상영 박사는 "통신사업의 경우 파업을 하더라도 대체할 수 있는 경쟁사업자가 많아 노조가 강하게 반발하기는 힘들 것"이라며 "노조도 극단적인 대립보다는 조합원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종태.안재석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