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총리 제도가 3년만에 부활돼 진 념 재경부장관이 부총리로 승진,임명됐다.

또 첫 교육부총리가 탄생했고,신설된 여성부장관이 임명됨으로써 관심을 끌어오던 개각이 일단 마무리됐다.

그동안 개각의 범위 등에 관해 여러가지 추측들이 많았지만 일단 이번에는 부총리제의 부활 및 여성부 신설이라는 정부조직 개편 취지를 살리는데 초점이 맞춰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장관 개개인의 면모보다 부처간의 이견조율과 국정운영의 팀워크를 강화하자는 것이고,새로 임명된 경제 및 교육부총리의 1차적인 책무도 그같은 취지를 충실히 살리는 것이라고 우리는 생각한다.

특히 경제부처간 정책혼선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성이 크게 떨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고 보면 경제부총리의 역할은 막중하다고 본다.

김대중 대통령이 현직 재정경제부장관을 그대로 부총리로 승진 임명한 것도 정책의 일관성 유지에 큰 비중을 두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2월말까지 4대개혁의 기본틀을 마무리해야 하고 구조조정을 매듭짓는 등 경제개혁정책을 앞장서 이끌어주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그같은 개혁정책의 일관성 유지가 정책신뢰성 회복의 최대관건이라고 보고,그런 점에서 진 부총리의 승진임명은 적절했다고 본다.

문제는 진 부총리가 승진하고,경제팀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해서 당연히 정책조율이 잘되고 일관성을 유지할수 있다고 믿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점이다.

올들어 제한적이지만 경기부양책이 잇달아 발표되고 있고,회사채 신속인수제 실시 등을 계기로 구조조정에 대한 정책의지가 약화된게 아니냐는 불신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는 원만한 구조조정의 시행을 위해서 어느정도 경기회복이 수반돼야 한다는 점을 누차 강조한바 있지만 그것이 구조조정 자체를 저해해선 안된다는 점 또한 분명히 밝힌바 있다.

그런 점에서 진 부총리는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정책방향을 밝히고 장기비전을 제시해 구조조정과 경기대책의 한계를 분명히 함으로써 경제에 대한 시중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것이 정책조율에 앞서 서둘러야할 일이라고 본다.

교육부총리와 여성부의 신설은 우리의 최대강점인 인력자원 활용의 극대화란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여성부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소극적인 활동에 그칠 것이 아니라 경제활동 참여확대 등 경제활성화와 국가경쟁력의 강화에 보탬이 될수 있도록 보다 거시적인 차원의 정책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