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이 얼마나 불투명하고 불확실한가를 보여주는 "국제 불투명성 지수"에서 한국의 불투명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의 기업환경이 예측불허이며 외국 기업들이 한국에서 사업하기가 어렵다는 뜻이다.

또 한국 기업들의 해외자본 조달비용이 더 높아질수 있음을 의미한다.

세계 최대 회계 및 컨설팅그룹인 미국의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25일 세계 주요 35개국을 대상으로 시장의 불투명성 정도를 지수화한 ''불투명성지수(Opacity Index)''를 산정, 발표했다.

한국의 불투명성지수는 73(1백 기준)으로 중국 러시아 인도네시아 터키 다음 5번째로 시장환경이 불투명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한국의 투명성이 주요국중 거의 꼴찌 수준임을 뜻한다.

PwC가 올해 처음 공개한 불투명성지수는 각국 자본시장의 △부패정도 △법률시스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정보의 투명성 등을 포함한 회계기준 △경제정책 △규제 등 5가지를 기준으로 산정됐다.

한국의 불투명성지수(73,5위)는 주요 경쟁국인 멕시코(48,29위) 대만(61,16위) 태국(67,10위))보다 크게 높다.

심지어 케냐 파키스탄 체코 루마니아보다도 더 높아 한국의 자본시장투명성 제고정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은 특히 지수산정기준 가운데 회계기준에서 조사대상국중 최악의 점수를 받았다.

오너 중심의 기업지배구조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데다 기업정보의 공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부패기준에서만 중간성적을 받았고 법률시스템이나 경제정책, 규제 등에서도 모두 좋지 않은 점수를 받았다.

자본시장의 불투명성 정도가 크게 높음에 따라 한국정부와 기업이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때 적용되는 리스크프리미엄(가산금리)은 9.67%포인트로 산정됐다.

경쟁국인 대만의 경우 ''불투명성''으로 인한 가산금리가 6.40%포인트에 그쳐 한국보다 3%포인트나 낮았다.

불투명성지수가 가장 낮은 싱가포르(29,35위)와 미국(36,공동 33위) 칠레(36,공동 33위)의 경우 가산금리는 제로다.

PwC의 국내제휴사인 삼일회계법인 관계자는 "앞으로 국제자본시장에서 이 불투명성지수가 주요 잣대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 경우 한국은 해외직접투자 유치와 외자조달 등에서 심각한 애로를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