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자민련 사전에 공동정부란 영원히 없다"(이한동 총재,2000년 2월28일)

"이 정권이 잘되도록 총력을 다해 협력하겠다"(김종필 명예총재,2001년 1월5일)

자민련 최고지도부의 말바꾸기가 극을 달린다.

자민련은 지난 4·13 총선을 전후해 셀수 없을 정도로 ''공조불가''를 입에 달고 다녔다.

"우리는 오늘부터 공동여당의 길을 완전 포기하고 야당으로 태어나고자 한다"(이 총재,2000년 2월24일)는 ''야당선언''에서부터 "우리는 한번 속지 두번 속지 않는다"(JP,3월22일) "이런 비열한 정권은 철저히 응징돼야 한다"(이 총재,4월11일) 등등.

그러나 지난해 5월22일 이 총재가 국무총리로 지명되자 JP는 "총리추천과 공조복원은 별개"라며 슬그머니 말을 돌렸다.

이 총재도 "민주당과의 공조는 공동정권을 창출했던 자민련의 태생적 한계이자 숙명"이라며 하루아침에 ''공조불가피''로 선회했다.

결국 4·13 총선 이후 비교섭단체로서의 설움을 톡톡히 당한 자민련은 지난 연말 ''의원임대''라는 민주당의 시혜에 감읍해,공조복원 쪽으로 완전히 기울었다.

"나라가 이렇게 돼 공조 안할 도리가 없다"고 JP는 핑계댔다.

그러나 ''DJP공조''가 안된 탓에 경제가 불안하고 정치가 혼미를 거듭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은 과연 얼마나 될까.

자민련의 강창희 의원 마저도 소속정당을 ''괴뢰정당''이라고 매몰차게 비난하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강 의원 혼자서 편법 공조에 대해 "내탓이오"라며 반기를 들었지만 당랑거철(螳螂拒轍:사마귀 앞발로 수레바퀴를 가로막는) 형국이다.

정치는 흔히 ''살아있는 생물''과도 같다고들 한다.

그만큼 가변적이어서 어제의 적이 오늘의 동지가 되거나 정당간에 이합집산하는 일은 다반사다.

다만 국민들이 걱정하는 것은 ''DJP공조''의 결과물이다.

''권력 나눠먹기식''이 아닌 국민들에게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공조가 돼야 한다는 얘기다.

8일의 ''DJP회동''에서는 또 한번 공조를 다짐했다.

이 다짐이 말(言)의 연금술사들에 의해 변질되지 않고 그저 실천되기만을 바랄 뿐이다.

김병일 정치부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