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주택은행의 파업이 장기화 되면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대체인력으로 1백여개 거점지점의 문을 열게 하고 기업·한빛·신한은행에서 입출금을 대신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했으나 고객들은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연말 자금성수기를 맞은 중소기업들이 자금을 못 구해 부도위기에 몰리는 등 애를 태우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강경대응 방침을 천명하고 있고 이에 맞서 금융노련도 28일부터 총파업을 예고하고 있어 자칫 금융대란으로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우려감 마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국민·주택은행의 통합은 공감대 형성이 미흡한 상황에서 무엇에 쫓기듯 추진돼 노조를 불필요하게 자극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

하지만 두 우량은행이 통합된 선도은행 출범은 은행산업 경쟁력 강화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점차 국민들로 부터 공감을 얻어 가고 있는 만큼 더이상 통합자체가 논란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 우리 생각이다.

따라서 이제 노조도 파업을 풀고 직장에 복귀해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한다.

무조건 합병철회를 요구하며 파업사태를 장기화 시키는 것은 더이상 국민들로 부터 지지를 받기 힘들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은행합병은 노조동의가 필요한 사안이 아닐 뿐 아니라 은행살리기를 위해 시작된 파업이 자칫 은행죽이기로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을 충분히 유념하기 바란다.

잘 알려진대로 두 은행은 모두 소매금융에 중점을 둬 왔고 점포의 60% 가량이 인접하고 있어 통합후 점포와 인력의 대규모 정리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노조측이 대규모 인원정리를 염려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그러나 인력·점포 정리 문제는 통합은행의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이를 무작정 회피할 수도 없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사측에서도 명예퇴직이나 자연감소를 최대한 활용하고 강제적 인원정리는 없다고 밝히고 있는 만큼 대화와 타협을 통해 조합원 신분불안이 최소화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노조의 임무이기도 하다.

국민·주택은행의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에 큰 짐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극한대결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공권력 투입은 최대한 자제할 필요가 있다.

노조측도 합병과정에서 종업원의 희생을 최소화하면서 합병은행이 초우량 은행으로 태어나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대다수 조합원에게 이익이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