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과 산업자원부가 공동으로 마련한 "제 2회 코리아 바이오 포럼"이 지난 12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렸다.

바이오 산업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현대기술투자 후원으로 마련된 이날 포럼에서 반재구 제노포커스 사장은 "지식의 생산과 이용의 관점에서 본 바이오벤처 비즈니스모델 분석"이란 주제로 강연을 했다.

다음은 강연 요지.

---------------------------------------------------------------

바이오텍 최고의 투자가 중 한명인 파파도폴러스(S Papadopoulos)는 인슐린 복제기술을 개발한 제넨텍이 지난 80년 미국증시에 상장된 것을 새로운 지식산업의 시작이었다고 회고했다.

지식형 유전공학 기업이 일반 투자가들의 돈을 끌어들일 만큼 신뢰를 얻은 사건이라는 점에서다.

20년이 지난 지금 유전체 지도의 완성과 함께 21세기는 바이오텍의 세기가 돼가고 있다.

최근 바이오 신경제를 일으키느라 뒤늦게 부산한 독일의 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다.

바이오테크놀로지와 응용재료 산업을 미래산업의 두 축으로 제시한 독일 정부는 바이오의 경우 바이오지역(Bio-Region)사업과 창업에 주력했다.

독일은 처음부터 바이오 산업 육성은 지역특화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3개의 지역을 뽑아 지역경제,지식생산 네트워크,지역 금융이 같이 어우러지는 그림을 그렸다.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는 지난 97년 연구소 직원들이 주축이 돼 만든 유전체 기업 라이온(Lion)에 기술을 이전하는 조건으로 그 기업의 주식을 받았다.

독일은 기업이 약 5백만달러의 벤처자금을 모으면 그 두배에 해당하는 1천만달러를 주정부와 연방정부 주선으로 빌릴 수 있는 제도도 마련했다.

그 결과 지난 3년간 창업이 활발해져 약 3백개의 기업이 생겼다.

신경제의 흐름은 어찌보면 돈을 주고 사는 것이다.

이제 한국의 바이오 벤처기업은 개발한 기술을 확실한 비즈니스 모델로 포장해 자본시장으로부터 돈을 끌어들여야 한다.

이를 위해선 확실한 소유권적 기반기술(platform technology)을 확립해 그 기술능력을 인정받아야 한다.

그 기술은 연구도구로 쓰이는 기술일 수도 있고 유전자 정보를 정리해 공급하는 기술일 수도 있다.

아니면 신약개발에 필요한 전체 과정을 완전히 갖춘 기술일 수도 있다.

물론 코스닥 시장의 환경도 바뀌어야 한다.

바이오 벤처기업을 매출액 잣대로만 평가해선 안된다.

걸음마를 시작한 회사에 돈을 벌면서 미래를 준비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러려면 돈이 먼저 현명해져야 한다.

정리=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