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기술개발 지원과 산업화 기반 구축을 통해 바이오산업을 21세기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지난 10월 김대중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바이오산업 발전방안 보고회의는 바이오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 의지를 재차 확인한 자리일 뿐 아니라 정부 정책 지원방향을 확실하게 정리한 자리이기도 했다.

정부는 기술개발과 산업화 촉진을 바이오산업 지원을 위한 두개 축으로 명시해 부처간 정책 집행의 혼선을 막고 민간분야와 정부 투자간의 연계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특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에 별도의 "바이오 기술.산업위원회"를 설치해 바이오 기술개발 및 산업화 촉진관련 정책을 통합 조정토록 함으로써 국가 전체적으로 바이오분야 투자의 시너지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했다.

바이오산업 분야에 2010년까지 16조원의 민.관 공동 자금이 투자될 예정인 만큼 계획 단계에서부터 비효율을 줄인다는 구상이다.

<> 기술개발 지원 =정부는 생명공학육성법 및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 등을 근거로 지난 94년부터 바이오분야 기초 연구 및 기술개발을 추진했지만 전반적인 기술수준이 바이오 선진국의 60%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동안의 연구가 체세포 복제, 에이즈 DNA백신 개발, 제초제.농약 저항성 작물개발 등 일부 분야에 집중됐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정부는 앞으로 효과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선진국이 선점하지 않은 고유 분야에서의 유전자 특허와 기술우위 확보를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연구인력간 교류 촉진과 공동 연구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보건의료분야의 보건산업진흥원, 동식물자원분야의 농총진흥청, 생물소재분야의 생명공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인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키로 했다.

이와함께 유전자정보 분석의 기초 자원이 되는 생물자원의 보존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2002년까지 1백만점 이상의 국내 생물자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질병퇴치와 관련한 바이오 연구가 날로 확대되는 추세를 감안, 한국인 고유의 유전적 특성에 대한 연구와 위암 간암 등에 대한 연구를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한국인 고유의 유전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민간 연구를 측면 지원키로 했다.

이를통해 2005년까지 위암 간암의 조기 진단기술을 개발, 실용화하고 현재 20% 수준인 치료생존율을 2010년까지 6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또 당장 사업화가 가능하거나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릴 방침이다.

한의학을 기반으로 천연물 신약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병충해에 강하면서도 수확량이 많은 농.수산양식 품종 개발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 산업화 기반 조성 =정부는 산업화 태동기에 진입한 국내 바이오산업이 앞으로 벌어질 세계적인 바이오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보다 체계적인 산업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바이오 기술수준이 선진국의 60% 정도라면 바이오엔지니어링이나 안전성 평가 등의 산업화 기술은 30% 수준에 불과해 산업화 기반 구축이 더욱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이같은 산업화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벤처기업 등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지방자치단체 대학 민간연구소 등과 함께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현재 건설중인 춘천 대전 전주 바이오벤처지원센터에 우선적으로 이같은 기반시설을 설치할 방침이다.

또 바이오관련 물질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센터를 대덕단지에 조성해 국내 바이오업계의 제품 및 기술 평가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계획이다.

신약 개발기술의 안전성을 국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영장류 실험 및 임상시험 기반도 확충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함께 향후 5~7년내 상업화할 수 있는 산업화기초 기반기술에 대해선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피 한방울로 질병 유무 및 치료방식을 진단할 수 있는 DNA칩과 단백질칩, 환경친화 미생물 농약 등이 대상이다.

민간분야에서 독자적으로 투자가 어려운 산업용 미생물, 바이오 플라스틱, 기능성 소재, 아미노산 등 10대 바이오 핵심응용기술 개발 및 실용화사업엔 정부가 직접 지원키로 했다.

아울러 바이오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전용펀드를 현재 2백50억원 규모에서 2002년까지 1천억원으로 늘리고 바이오제품 판매시장 확대를 위한 대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특히 유전자변형 농산물 및 식품에 대한 유전자변형 사실 표시를 각각 내년 3월과 7월부터 의무화키로 한 것과 관련, 바이오제품의 안전성 정보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체계를 구축해 소비자가 합리적으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바이오관련 기술거래도 활성화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