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경기침체로 실업확대에 대한 불안감이 갈수록 짙어지고 있어 걱정이다.

기업 및 금융권에 대한 2차 구조조정의 여파로 일자리가 줄어든데다 급속한 경기침체로 고용감소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대학졸업자들의 신규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실업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는 양상이어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노동연구원은 지난 10월말 현재 3.6%인 실업률이 내년 2월에는 5%수준으로 높아져 실업자수도 1백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기관들이 내년 경제를 무척 어둡게 전망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실업문제는 그같은 전망보다 더 어려워질 공산도 있다.

따라서 정부는 지난 15일 국무총리 주재로 사회관계장관 회의를 열고 실업증가에 따른 대책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이렇다 할 묘안을 찾지는 못하고 있는 것같다.

실업자를 줄이기 위한 정책대응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정부가 취할수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실직자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동시에 특히 취업알선이나 전직훈련 등 인력재배치에 특단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아직도 미흡한 사회안전망의 확충도 재점검해야 한다.

정부는 고용보험의 고용유지지원제도를 활용해 실업발생을 최대한 예방하는 한편 불가피한 실직자들의 생계유지를 위한 지원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좀더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어떤 수단과 방법을 선택하느냐에 대해서는 신중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자칫 실업을 줄이는데 너무 매달리다 보면 경제체질 강화라는 보다 큰 과제를 간과할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기업 구조조정에 대한 노동계의 반발은 그런 점에서 좀더 신중히 생각해볼 문제다.

신속한 구조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경제회생이 어렵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하는 바다.

그렇다면 오히려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마무리하고 기업들이 활력을 되찾을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가장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실업대책이라고 볼수 있다.

실업문제가 구조조정의 발목을 잡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 점에서 최근 격화되고 있는 노사갈등과 파업 움직임 등은 무척 걱정스런 사태가 아닐수 없다.

자칫 소탐대실의 우(愚)를 범할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더구나 최근 국내 대기업들의 유동성 위기가 불거지면서 세계각국이 우리 경제의 진행상황에 대해 각별히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