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우리 경제의 목을 죄어왔던 현대건설 문제가 회생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는 것은 무척 다행스런 일이다.

구조조정 의지약화로 비쳐질 수 있다는 일부의 지적이 없는 것은 아니나 기업자체를 어떤 형태로든 살려야 한다는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진작부터 공감해 왔던 바다.

주지하다시피 현대건설은 국내 건설시장에서 부동의 수위자리를 지켜온 기업이고 세계적으로도 시공능력 면에서 20위권에 드는 세계적인 건설회사다.

아무리 구조조정도 좋지만 이런 기업을 퇴출시킨다면 우리나라에 살아남을 기업이 과연 몇이나 되겠는가.

현대건설이 잘못됐을 경우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건설업이 존폐의 기로에 서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현대건설이 세계 각국에 1백여개 건설현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건설한국의 위상이 땅에 떨어지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더욱이 동아건설,대우차 부도처리 여파로 몸살을 앓고 있는 우리 경제가 과연 이를 감내할 수 있을지 의문시 돼 왔던 것도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현대측이 서산농장을 포함한 1조원대의 자구계획을 준비중인 가운데 정부가 비록 채권단의 동의를 전제로 달기는 했으나 신규자금 지원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피력해 현대와 채권단에 정부의지를 전달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본다.

문제는 현대건설을 회생시키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이상 다시는 유동성 문제가 제기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네차례나 자구계획을 내놓았으나 번번이 시장의 신뢰를 얻는데 실패한 현대측이 이번에야 말로 확실한 자구계획을 내놓아야 하는 것이 대전제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정부와 채권단도 이를 토대로 현대건설이 회생할 수 있도록 확실한 지원대책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미 약속한 기존 채권의 만기연장 조치가 지켜져야 하고 기업회생이 가능토록 신규지원도 제때 이뤄져야 한다.

채권단이 지원계획을 통해 신뢰를 보이지 않는다면 시장의 어느 누가 신뢰를 보내겠는가.

정부와 채권단은 만에 하나 현대건설이 법정관리로 갈 경우 건설업 특성상 기업을 회생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어 채권회수가 어렵고 우리 경제 전체에도 큰짐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비록 조건부이기는 하나 회생의지를 밝힌 만큼 이제 현대측은 시장이 신뢰할 수 있는 자구계획을 조속히 내놓아야 한다.

이를 토대로 현대측과 채권단은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회생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찾아야함은 물론이다.